메뉴

절차탁마(切磋琢磨)

 

 

절차탁마(切磋琢磨)

 

뼈나 상아(象牙) 잘라 깎고

옥돌은 쪼고 가니

 

정성 다한 노력으로

끊임없이 정진(精進)하네

 

훌륭한

군자(君子)가 되나니

백성들이 잊으리오

 

어의(語義) : 톱으로 자르고, 줄로 갈고, 끌로 쪼며, 숫돌에 간다.

                 (옥이나 돌 따위를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

                 (학문이나 인격을 갈고 닦음.)

                 (기술을 익히고 사업을 이룩함.)

출전(出典)① : 詩經(시경) 衛風(위풍) 淇澳篇(기오편)

 

 

 

※ 古代(고대) 중국의 玉(옥)을 가공하는 기술

 

玉(옥)의 原石(원석)을 구해서 원하는 모양으로 옥을 만드는 과정은 모두 4가지가 있다. 첫 단계는 옥을 원석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옥의 모양대로 자르는 것이다. 이 공정을 자른다는 뜻의 ‘切(절)’이라고 한다. 두 번째 공정은 썬다는 뜻의 ‘磋(차)’로 내가 원하는 모양으로 옥을 썰어내는 과정이다. 세 번째 공정은 쫀다는 뜻의 ‘琢(탁)’으로 도구로 옥을 모양대로 쪼는 과정이고, 네 번째 공정은 간다는 뜻의 ‘磨(마)’로 완성된 옥을 갈고 닦는 과정이다. 즉 ‘切磋琢磨(절차탁마)’는 자르고, 썰고, 쪼고, 갈아서 옥을 만드는 가공 공정을 말한다.

 

언변과 재기가 뛰어난 子貢(자공)이 스승인 孔子(공자)에게 이렇게 물었다.

 

“선생님, 가난하더라도 남에게 아첨하지 않으며[貧而無諂(빙이무첨)], 부자가 되더라도 교만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富而無驕(빈이무교)], 어떤 사람일까요?”

 

“좋긴 하지만, 가난하면서도 도를 즐기고[貧而樂道(빈이낙도)], 부자가 되더라도 예를 좋아하는 사람만은 못하느니라[富而好禮(부이호례)].”

 

공자의 대답에 이어, 자공은 또 이렇게 물었다.

 

“詩經(시경)에 ‘선명하고 아름다운 군자는, 뼈나 象牙(상아)를 잘라서 줄로 간 것[切磋(절차)]처럼 또한 옥이나 돌을 쪼아서 모래로 갈은 것[琢磨(탁마)]처럼, 밝게 빛나는 것 같다’고 나와 있는데, 이는 선생님이 말씀하신 ‘수양에 수양을 쌓아야 한다.’는 것을 말한 것일까요?”

 

공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賜(사 : 자공의 이름)야, 이제 너와 함께 ‘詩經(시경)’을 말할 수 있게 되었구나. 과거의 것을 알려주면 미래의 것을 안다고 했듯이, 너야말로 하나를 듣고 둘을 알 수 있는 인물이로다.”

 

곧 ‘切磋琢磨(절차탁마)’는 ‘뼈나 상아를 자르고 깎고, 옥이나 돌을 쪼아서 갈고 닦아 빛나게 하듯, 수양에 수양을 쌓아야 한다.’는 말로, ‘學文(학문)이나 技藝(기예)를 힘써 갈고 닦음’을 비유한 말이다.

 

玉(옥)도 하루아침에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옥의 원석을 갈고 다듬는 과정에서 진정 최고의 옥을 만들어낼 수 있듯, 성공한 사람들은 목표를 세우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무수한 노력을 해온 결과 성공을 이룬 것이다. 좋은 옥이란 하루아침에 만들어질 수가 없듯이, 모든 일에는 절차가 있고 과정이 있는 법이다. 이 절차를 무시하면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가 없다.

 

세상의 모든 존재는 本末(본말)이 있고, 세상의 모든 일은 始終(시종)이 있다. 그 先後(선후)를 제대로 안다면 쉽게 목표를 달성할 수가 있을 것이다.

 

 

출전(出典)② : 大學(대학)

“자르는 듯하고 쓸 듯함은 학문을 말하는 것이요, 쪼는 듯하고 갈 듯함은 스스로 닦는 일이다[如切如磋者(여절여차) 道學也(도학야) 如琢如磨者(여탁여마자) 自修也(자수야)].”라고 하여, 切磋(절차)는 학문을 뜻하고, 琢磨(탁마)는 수양을 뜻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如切如磋(여절여차) 如琢如磨(여탁여마)’에서 如(여)자를 뺀 것이 ‘切磋琢磨(절차탁마)’이다.

 

출전(出典)③ : 字書(자서 : 자전) 爾雅[이아 : 고서의 字句(자구)를 해석한 중국의 책]

“뼈는 그것을 자른다고 이르고, 상아는 그것을 간다고 이르고, 옥은 그것을 쫀다고 이르고, 돌은 그것을 간다고 이른다[骨謂之切(골위지절) 象謂之磋(상위지차) 玉謂之琢(옥위지탁) 石謂之磨(석위지마).”

 

이와 같이 ‘切磋琢磨(절차탁마)’는 공예품을 만들어 낼 때의 정성과 노력과 인내심을 가지고 학문과 덕성을 함양하여, 길이 백성들에게 잊혀지지 않는 훌륭한 君子(군자)가 되라는 것을 이르는 것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