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40년, 명창과 거장의 기록이 함께하는 송년 무대
국립극장 전속단체 국립창극단이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40주년을 기념하는 송년판소리를 12월 19일과 20일 이틀간 달오름극장에서 개최한다. 완창판소리는 1984년 시작된 이래 40년 동안 100명의 창자를 배출하며, 우리 판소리 전승의 전초기지 역할을 해 온 대표 장기 기획이다. 판소리 다섯 바탕의 완창 무대를 통해 각 유파의 미학과 명창들의 소리 철학을 기록해 온 이 시리즈는 “살아 있는 판소리 아카이브”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송년판소리는 그 이름에 걸맞게 국가무형유산 판소리 보유자 6인과 지방무형유산 판소리 보유자 5인, 완창판소리를 함께 지켜온 고수 4인이 한 무대에 오른다. 여기에 역대 사회자 5인이 동참해, 그간의 역사를 되짚으며 40년의 의미를 관객과 공유한다. 국립극장이 해마다 12월 한 해의 마무리로 올려 온 송년 무대가, 올해는 곧 완창판소리 40년사를 총정리하는 자리인 셈이다.
첫날인 19일에는 김수연(국가무형유산 판소리 수궁가 보유자), 윤진철(국가무형유산 판소리 적벽가 보유자), 정회석(국가무형유산 판소리 심청가 보유자), 김세미(전라북도무형유산 판소리 수궁가 보유자), 모보경(전라북도무형유산 판소리 춘향가 보유자)이 출연한다. 모보경이 춘향가 하루 가고에서 기생점고 대목을 들려주며 문을 열고, 정회석이 심청가 초앞부터 심봉사 젖 동냥 나가는 대목까지를 이어간다. 김세미의 흥보가 돈타령, 윤진철의 적벽가 조조 군사 조련 장면과 조자룡 활 쏘는 대목, 김수연의 수궁가 말을 허라니 허오리다에서 더질더질 대목까지, 명창들이 각자 대표 눈대목으로 송년 한마당을 채운다. 북은 조용수와 김태영이 맡고, 사회는 유영대, 정회천, 유은선이 나선다.
둘째 날인 20일에는 김영자(국가무형유산 판소리 심청가 보유자), 김일구(국가무형유산 판소리 적벽가 보유자), 정순임(국가무형유산 판소리 흥보가 보유자), 성준숙(전라북도무형유산 판소리 적벽가 보유자), 유영애(전라북도무형유산 판소리 심청가 보유자), 조소녀(전라북도무형유산 판소리 춘향가 보유자)가 출연한다. 김영자의 수궁가 토끼 배 가르는 대목과 세상에 나오는 장면, 조소녀의 춘향가 오리정 이별 대목, 성준숙의 적벽가 적벽강에 불을 지르고 이어지는 장승타령, 유영애의 심청가 추월만정에서 황성으로 올라가는 대목, 정순임의 흥보가 제비 강남 가는 장면과 박 타는 대목, 김일구의 적벽가 동남풍이 비고 자룡이 활 쏘는 장면까지, 판소리 다섯 바탕이 골고루 펼쳐진다. 이 날의 고수는 조용안, 이태백이 북을 잡고, 사회는 김성녀, 최동현, 유은선이 맡는다.
올해 송년판소리는 디지털 전승의 실험도 함께 이어간다. 국립극장은 지난해에 이어 디지털 기반 전승·기록 방식을 도입해, 국가무형유산 판소리 적벽가 보유자 고 송순섭 명창의 소리를 홀로그램으로 구현한다. 직접 무대에서 다시 만나기 어려운 거장의 창을 입체 영상으로 재현해, 후대 소리꾼과 관객이 함께 감상할 수 있도록 한 시도다. 더불어 역대 출연자들의 기록 영상도 상영해 40년간 완창판소리를 지켜 온 명창들의 발자취를 돌아본다. 실감 기술과 실연이 함께하는 이번 무대는, 판소리 전승 방식이 현장 공연에서 디지털 아카이브까지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국립극장 완창판소리는 판소리 한바탕 전체를 감상하며 작품의 구조와 소리의 깊이를 온전히 체험할 수 있는 최장수 완창 시리즈다. 2025년 하반기에도 각 바탕의 소리꾼들이 매달 무대에 올라 관객과 호흡해 왔으며, 송년판소리는 그 여정을 마무리하는 자리다. 국립극장은 완창판소리를 통해 한국 전통예술의 현재를 기록하고 미래를 잇는 길을 계속해서 모색하고 있다. 전석 3만원, 예매와 문의는 국립극장 홈페이지와 전화(02-2280-4114)를 통해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