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자요산(仁者樂山)

  • 등록 2022.11.12 20:20:52
크게보기

 

 

인자요산(仁者樂山)

 

마음이 어진 사람은

고요하고 겸손하네

 

몸가짐을 중(重)히 하니

무겁고 덕(德) 두텁네

 

그 마음

변함이 없으니

산과 같아 산이 좋네

 

어의(語義) :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

                 (어진 사람은 의리에 만족하여 몸가짐이 무겁고 덕이 두터워,

                  그 마음이 산과 비슷하므로 자연히 산을 좋아함.)

출전(出典) : 論語(논어) 翁也篇(옹야편) 二十一(이십일)

 

 

중국 춘추시대 樊遲(번지)가 知(지)를 묻자온대, 孔子(공자) 가라사대,

 

“백성의 의로움에 힘쓰고, 귀신을 공경하되 멀리하면, 가히 知(지)라 이를 만하니라.”

 

(번지가) 仁(인)을 묻자온대, (공자) 가라사대

 

“仁(인)이라는 것은 어려움을 먼저 하고 얻음을 뒤에 하면, 가히 仁(인)이라 이를 만하니라.

 

<原文> 樊遲問知(번지문지) 子曰(자왈) 務民之義(무민지의) 敬鬼神而遠之(경귀신이원지) 可謂知矣(가위지의) 問仁(문인) 曰(왈) 仁者(인자) 先難而後獲(선난이후획) 可謂仁矣(가위인의)

 

孔子(공자)가 말씀하시기를,

 

“지혜로운 자는 물을 좋아하고, 어진 자는 산을 좋아한다. 지혜로운 자는 움직이고, 어진 자는 고요하다. 지혜로운 자는 즐기고, 어진 자는 오래 산다.

 

<原文> 子曰(자왈) 智者樂水(지자요수) 仁者樂山(인자요산) 智者動(지자동) 仁者靜(인자정) 智者樂(지자요) 仁者壽(인자수)

 

공자의 이 말씀은 지혜로운 사람의 부류에 속하는 이들과, 어진 부류에 속하는 이들의 성격과 행동을 설명하고 있다,

 

지혜로운 사람[智者(지자)]은 분별력이 높다. 자신과 맺어지는 인간관계에 항상 겸손한 자세를 가지려고 노력한다. 두루 흘러 맺힘이 없는 것이 물과 같기 때문에 물을 좋아하고, 知的(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해, 항상 호수 같은 물을 찾고 관찰하고 즐긴다.

 

어진 사람[仁者(인자)]은 의리를 편안히 하고 重厚(중후 : 몸가짐이 정중하고 견실함)하여, 옮기지 않는 것이 산과 같다하여 산을 좋아한다. 늘 자신과 하늘의 관계에만 관심을 두기 때문에 모두 가치를 위에다 두고 있다. 그리고 호기심이 적어 한곳에 가만히 있기를 좋아하여, 고요한 성격이 많다. 또한 마음을 가다듬고, 物質的(물질적) 욕구에 집착하지 않으니 오래 산다.

 

즉 지혜로운 자의 마음은 밝고 깨끗하여 이해심이 깊고 넓다. 그래서 흐르는 물처럼 시대의 환경에 따라 항상 새롭게 산다. 반면 어진 사람이 산을 좋아하는 것은 그것이 움직이지 않고 변하지 않으며 고요하기 때문이다.

 

※ 樊遲(번지) : 공자의 제자로 성은 樊(번)이고, 이름은 須(수)이다. 자가 子遲(자지)인 탓에 번지로 불린다. 노(또는 제)나라 출신으로, 공자보다 36세 아래다.

 

※ 孔子(공자)와 樊遲(번지)와의 다른 대화 한 편

공자의 제자 樊遲(번지)가 공자와 함께 야외를 산책하게 되었다. 그 기회를 이용하여 번지는 질문하였다.

 

“덕을 높이는 방법[崇德(숭덕)]과 간악함을 다스리는 방법[修慝(수특)]과 미혹됨을 분별하는 방법[辨惑(변혹)]은 무엇입니까?”

 

이에 대하여 德(덕)을 높이는 방법에 대해 말씀하셨다.

 

“할 일을 다른 사람보다 먼저 실행하고, 이득은 다른 사람의 뒤에 한다. 이것이 덕을 높이는 것이 아니겠는가[先事後得(선사후득) 非崇德與(비숭덕여)]?”

송인숙 기자 mulsori71@naver.com
Copyright @국악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


(우)10545,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향동로 128 스타비즈 4st 520호(향동동 469번지) 등록번호: 경기,아53864 | 등록일 : 2021-09-24 | 발행인 : 송혜근 | 편집인 : 송혜근 | 전화번호 : 02-3675-6001/1533-2585 Copyright @(주)헤리티지네트웍스 국악타임즈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