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연재 11] 재인청 춤꾼 이동안 - 수난의 시대를 살다 간 한 춤꾼의 포괄적인 초상
재인청 춤, 네 개의 스타일 2
태평성대, 태평무
오늘날 태평무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한다. 재인청 예인들에 의해 전해 내려오는 태평무와 구한말 명무였던 한성준에 의해 창안되어 전해지는 태평무로 크게 나눈다. 그런데 한성준의 태평무는 강선영과 한영숙에 의해 각기 다른 태평무가 되어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면서 또 다른 유형으로 추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태평무는 의식무용으로 본다. 관아나 궁중에서 태평성대를 기원하면서 만든 춤이라고 보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동안의 태평무와 발탈을 무형문화재로 천거하고 지정하기 위해 문화재 위원의 자격으로 조사에 참여했던 고 정병호 박사는 태평무의 형태와 형식을 토대로 궁중의 정재呈才에서 비롯되었다는 가설을 부인한 바 있다.
가장 현저한 형식적 차이는 무복에 있다. 강선영, 한영숙 두 태평무는 왕비의 복식이고, 재인청 태평무는 당상관 신분의 신하가 입는 관복이다. 그래서 화려하지 않다. 이 복식 덕택에 이동안 선생의 광무대 시절처럼 공연 때마다 일반인의 인기를 누리게 된다. 일반 백성에게는 혼례복으로만 유일하게 허용되었던 관복이었던 까닭에 민중의 정서에 밀착된 춤으로 인정받게 되었던 것이다.
또 다른 주된 차이로는 재인청의 춤은 바지춤男舞으로 춘 춤이다. 그래서 역동성이 강한 바지춤의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의식을 거행하는 제관같은 절제의 멋을 풍긴다. 근엄한 표정으로 내딛는 사뿐한 발디딤이나 신명을 내며 딛는 발동작, 긴 한삼자락을 휘날리며 뿌리고 앉고 제치며 던지는 등 태극선을 그리는 한삼놀음이 주를 이룬다.
무복과 춤사위의 특징들이 조화롭게 어울리는 재인청 태평무를 일러 한 평자는 “그다지 화려하지 않으면서도 구름 위를 걷듯 출렁이면서, 살얼음을 깨뜨리지 않는 사뿐한 디딤은 압권이다. 여기에 긴 한삼자락을 펼치고 뿌려 거둬들이는 팔사위와 표정이 없는 듯하면서도 의식을 거행하는 제관祭官처럼 위엄이 깃든 표정은 절제의 멋을 더해 준다.”고 한 바 있다. 태평무를 일러 은근한 격조와 품격의 아름다움이 절도있게 드러나는 춤이라 말하는 이유다.
장단과 춤꾼의 태도를 보자. 긴 호흡을 가다듬는 춤의 첫 장면에서는 ‘길군악’을 뒤집어 ‘낙궁’이라 부르는 장단으로 시작한다. 부정놀이 장면에서는 제관의 의식처럼 사방을 다니며 인사로 예를 갖추어 춘다. 터벌림이라고도 부르는 반서림 장단에서는 리드미컬한 발놀림과 팔사위로 신명을 부른다. 부정놀이와 반서림 장단은 타악으로만 연주하다가 엇모리로 넘어오면서 기악과 구음이 들어와 떠들썩하게 섞이는데 마치 흥청거리고, 비틀거리고, 고뇌하는 듯 춤사위들이 다채롭다. 갑자기 번개가 치듯 기세등등한 올림채로 넘어가면서 장구와 꽹과리가 동시에 몰아치는데 춤꾼은 춤을 잘게 쪼개고 있다. 쪼갤수록 숨이 막혀온다. 숨이 막히는데 위엄은 그대로다. 잦은몰이장단의 변형인 경상도 엇굿거리, 넘김채, 겹마치기 장단들이 이어지면서 다급해 보이지만 일정한 질서와 규범을 유지하면서 바닥을 꾹꾹 디디는 발놀림이 화려하기 그지없다. 하늘을 향해 한삼을 한껏 펼치는데 땅과 하늘이 하나 되듯 이어지니,이것이 태평성대로다 싶다.
정병호 박사의 말대로 정재呈才와는 확실히 다르다. 재인청 태평무가 지향하는 태평성대는 무결점의 이상향도 신기한 별천지도 아니다. 그저 자연의 섭리를 거스르지 않으면서 희로애락을 함께 나누는 우리의 평화로운 일상이 태평성대인 것이다
강선영 선생의 태평무가 치장의 화려함을 본위로 하고 있다면, 한영숙선생의 태평무는 단아함을 으뜸으로 한다. 반면에 치장과 분위기를 걷어내고 오로지 춤사위만으로 태평무를 면밀히 살핀다면 재인청 태평무가 단연코 압도적이다. 재인청의 태평무 역시 그 장단이 여느 태평무나 크게 다를 바 없지만, 장단 사이를 벌려 엇박의 영역을 크게 넓히고 한껏 노닐기 위해 빚어낸 춤사위들은 참으로 고급지다. 더구나 춤사위 자체가 지닌 섬세함을 가리지 않도록 소박한 춤옷을 선택한 것은 그야말로 신의 한 수가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