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로 바꾸어 쓴 기미독립선언서(己未獨立宣言書) 선 언 문 우리는 독립국이다, 우리는 자주민이다 만방에 이 뜻 알려 인류 평등 밝혀내고 이로써 자손만대에 민족 자존 깨치리라 반만 년 역사 문화 이천만의 충성 모아 민족의 자유 발전 인류 평등 이룰러니 이것은 하늘의 명령, 어느 누가 막으랴 강권주의 침략주의 지난 시대 낡은 유물 누천 년 지킨 나라 빼앗긴 적 있었던가 부끄런 경술의 국치, 압제 세월 십 년째 십 년 동안 받은 피해 그 얼마나 많았던가 생존권은 짓밟히고 정신은 상처 입고 민족의 자존심뿐이랴, 독창력도 눌렸네 십 년 억울 지금 고통 장래 위협 벗자 하면 민족 양심 국가 염치 다시 떨쳐 펼치려면 그렇다, 최대의 급선무 민족 독립 아닌가 한민족 겨레마다 인격자로 자라려면 불쌍한 자녀들을 부끄럽게 않으려면 우리들 자자손손이 경사로운 복 맞자면 겨레여 이천만이여, 가슴마다 칼 품으라 자유 평등 사랑하는 온 인류의 시대 양심 든든한 창이요 방패니 어느 누가 막을까 병자년 을사년에 정미년 경술년에 갖가지 맺은 약속 헌신짝 팽개치듯 일본은 그 무엇 하나 지킨 적이 있던가 학자들은 강단에서, 정치가는 실제에서 조선은 식민지다, 조선인은 야만인이다 오만한 정복욕에
시조로 바꾸어 쓴 윤오영의 ‘달밤’ 내가 잠시 낙향해서 있었을 때 겪었던 일 어느 날 밤이었다, 달이 몹시 밝았었다 서울서 이사 온 웃마을 김 군네를 찾아갔다 대문은 잠겨 있고 주위는 고요했다 밖에서 나는 혼자 머뭇머뭇거리다가 대문을 흔들지 않고 그대로 돌아섰다 김 군을 못 만나고 집으로 돌아오는 길 맞은편 집 사랑방 앞 야트막한 툇마루엔 웬 노인 책상다리하고 달을 보고 있었다 나도 모르게 발걸음을 그리로 옮기었다 그 노인 가까이 가도 관심 별로 안 보였다 “좀 쉬어 가겠습니다” 하며 툇마루에 몸 걸쳤다 이웃 사람 아닌 것을 알아보는 노인에게 “네, 달이 하도 밝기에” 다시 인사 건넸더니 “참, 밝소” 허연 수염을 달을 보며 쓸었다 한참이 지나도록 두 사람은 말 없는데 푸르른 가을 하늘 먼 마을에 덮여 있고 들판은 고요한 달빛에 젖어들고 있었다 노인이 방안으로 말없이 들더니만 안으로 통한 문이 열리고 닫히었다 얼마 후 노인은 방에서 상 하나를 들고왔다 소반에는 무청김치, 막걸리가 단 두 사발 “때마침 잘 되었소, 농주가 좀 남았더니” 권하며 스스로 한 사발 시원스레 들이켰다 큰 사발의 막걸리를 노인 따라 다 마셨다 이윽고 “살펴 가우” 인사 듣고 내려오며 얼
시조로 바꾸어 쓴 게으름 연습 원작 나태주 텃밭에 아무것도 심어놓지 않기로 했다 땀 흘리는 수고 대신 낮잠이나 자 두련다 먼 하늘 흰구름이나 보고 새소리나 들으려네 내가 바빠 우리 텃밭 돌보지 않는 사이 이런 풀 저런 풀들 찾아와서 살고 있다 각시풀 쇠비름 참비름, 채송화도 두어 송이 잡풀들 사이 끼어 얼굴들을 내밀었다 흥, 꽃들이 오히려 잡풀 사이 끼여서는 지들이 잡풀 행세를 하러들려 하는군 어느 날 텃밭을 보니 통통통 뛰노는 놈들 메뚜기다 연초록 빛, 방아깨비 콩메뚜기 풀무치 어린 새끼들 날 찾아온 진객(珍客)들 돌보지 않는 사이 하늘의 식솔들이 내 대신 녀석들을 돌보아 준 모양이다 해와 달 별들이 번갈아 섬겨 가꾼 모양이다 아예 나는 이 텃밭을 빌려줄까 생각했다 하늘의 식솔들에게 내주기로 맘먹었다 그 대신 가야금 가락이든 함께 듣기로 하였다
시조로 바꾸어 쓴 시애틀 추장(酋長)의 연설문 - 2019. 1. 30(수) 13:21 소향당에서 쓰기 시작하다 보이는 저 하늘은 그 수많은 세월 동안 아버지들 얼굴 위에 자비(慈悲) 눈물 뿌려왔다 영원히 안 변할 줄 알던 것, 변하려고 하고 있다 오늘의 맑은 하늘, 구름 낄 줄 뉘 알았나 하지만 나의 말은 지지 않는 별과 같다 ‘시애틀’ 하는 이 말들은 꼭 믿어도 좋으리라 워싱턴의 대추장(大酋長)이 안부를 전해왔다 무척이나 친절한 일 아닐 수가 없으리라 그에게 우리의 우정(友情)은 별로 필요 없으니까 그 부족(部族)은 숫자가 많다, 초원 덮는 풀과 같이 하지만 나의 부족 그 숫자가 아주 적다 폭풍이 휩쓸고 간 자리에 드물게 선 나무처럼 위대하고 훌륭하신 워싱턴 대추장(大酋長)은 우리 땅을 사고 싶다 제의를 해왔었다 그러곤 아무 불편 없이 살게 하여 준다 했다 이는 실로 자비로운 제안이라 할 수 있다 ‘얼굴 붉은’ 우리들은 더 이상 그에게서 존경을 받을 권리도 전혀 없기 때문이다 생각하면 그 제안이 현명할 수 있으리라 우리에겐 넓은 땅이 필요하지 않은 현실 우리가 대지를 뒤덮던 그런 시절 있었지만 하지만 그 시절은 오래 전에 떠나갔고 우리의 위대(偉大)했던…
시조로 바꾸어 쓴 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 - 도연명(陶淵明) 스스로 쓴 자신의 전(傳) 선생은 어떤 사람, 분명히는 알 수 없고 성(姓)이나 자(字)도 또한 자세하지 않지마는 집 가에 다섯 버들 있어 ‘오류(五柳) 선생’ 호(號) 삼았다 말수 항상 적게 했고 영화로움 멀리 했다 책 읽기를 좋아하되 깊은 해석 구(求)치 않고 이해가 될 때마다 기뻐 먹는 것을 잊었다 술을 항상 즐겼지만 집안이 가난해서 술이 늘상 있는 것은 아쉽게도 아니었네 친구가 이런 사정 알고 술자리를 마련했네 친구가 불러주면 고맙게 마셨는데 그때마다 다 마셔서 반드시 취하였다 하지만 정(情)의 가고 머묾에 미련 두지 않았네 작은 집은 쓸쓸하여 바람 햇살 못 막았고 짤막한 베옷마저 꿰매서 입었다네 대[竹] 밥과 표주박 물마저 없었지만 태연했다 평상시에 문장을 지어 스스로 즐기다가 생각보다 더욱 많이 자기의 뜻 얻게 되면 이해(利害)를 따지지 않았네, 이런 일생 마쳤네 춘추시대 제나라의 은사(隱士)였던 ‘검루(黔婁)’의 말 “빈천(貧賤)에 근심 말고 부귀(富貴)에 급급 말라” 그 말을 지극히 한다면, 오류(五柳) 선생 무리로세 언제고 어느 때고 어디서나 술 즐기고 시를 지어 그 맑은 뜻 마음껏 누
시조로 바꾸어 쓴 춘야연도리원서(春夜宴桃李園序) - 이백(李白) 夫天地者萬物之逆旅光陰者百代之過客而浮生若夢爲歡幾何古人秉燭 夜遊良有以也況陽春召我以煙景大塊假我以文章會桃李之芳園序天倫 之樂事群季俊秀皆爲惠連吾人詠歌獨慙康樂幽賞未已高談轉淸開瓊筵 以坐花飛羽觴而醉月不有佳作何伸雅懷如詩不成罰依金谷酒數 천지는 모든 만물 쉬어가는 한 숙소(宿所)요 시간은 지나가는 영원한 나그네라 인생은 한바탕의 꿈, 누릴 그 날 얼마인가 옛 사람들 촛불 밝혀 밤에까지 노는 것은 참으로 그 까닭에 깊은 뜻이 있음이라 하물며 화창한 봄날이 우릴 이리 부르는데 봄빛이 가득하고 아지랑이 황홀하니 대자연은 미문(美文)들을 우리에게 빌려주네 오얏꽃 흐드러지게 핀 아름다운 이 동산 동산에 모인 형제 즐거운 일 글로 쓰니 아우들의 문장마다 ‘해련(惠連)’의 경지로세 다만당 내 읊은 노래만 ‘강락(康樂)’에게 부끄럽네 그윽하다 글 감상은 그치지 아니하고 고고하다 이야기들 갈수록 맑아지네 화려한 연회(宴會)는 익어 달빛 속에 취하네 꽃 사이에 자리잡고 새 깃 닮은 술잔 날려 이름다운 문장 없다면 품은 회포 고상할까 만약에 시를 못 짓는다면 벌주(罰酒) 잔을 세리라 2018
시조(時調)로 바꾸어 쓴 난정서(蘭亭叙) - 원작 왕희지 영화(永和) 구년 계축 삼월 회계산 산음현에 ‘수계’ 위해 현사(賢士)들이 난정(蘭亭)에 다 모였네 높은 산 험한 고개 아래 울울창창 대나무 숲 급하게 흐르는 물 난정(蘭亭)을 둘러싸니 맑은 물을 끌어들여 물줄기를 만들었네 술잔을 띄울 정도로 굽이치는 물줄기여 차례로 줄지어서 물줄기에 둘러앉으니 거문고나 피리 연주 성대(盛大)함은 없지마는 그윽한 시정(詩情)을 펴기엔 어찌 아니 족할까 하늘 밝고 공기 맑고 바람도 화창하니 우주의 광대함을 우러러 바라보고 굽혀서 만물의 무성함 살펴보며 생각하네 하늘을 우러르고 굽혀서 보는 이 땅 눈으로 바라보고 두 귀로는 듣노라니 누리는 즐거움 넘치네, 기쁘기가 한이 없네 어울려 사귀면서 한 세상을 살아가며 누구는 벗과 함께 묵은 회포 끌어내고 누구는 자연에 빠져 유람(遊覽)하며 노니네 나아감과 머무름이 서로가 다 다르고 고요함과 시끄러움 역시 같지 아니하나 제 처지 만족함 알면 늙고 죽음 모르네 하지만 흥겹고 나면 또 다시 권태(倦怠)롭고 그 감정도 세상사 따라 다시 또 변화하니 감흥(感興)은 그 일 따라서 일어나는 것이로세 이전에는 그렇게도 즐거웠던 일이건만 순간에…
시조로 바꾸어 쓴 애련설(愛蓮說) - 주돈이(周敦頤) 물과 땅에 피어나는 사랑스런 예쁜 꽃들 진(晋)나라 도연명은 국화꽃을 좋아했고 당나라 이백(李白) 이후로는 모란 사랑 받았네 하지만 나는 오직 연꽃을 사랑하네 진흙에서 나왔어도 더럽혀지지 않고 맑은 물 잔물결에 씻겨도 교태(嬌態)롭지 않구나 속 비고 밖은 곧아 ‘향원익청(香遠益淸) 정정정식(亭亭淨植)’ 그 향기 멀리 가누나, 참 곧고도 깨끗하다 멀리서 바라볼 수만 있네, 희롱할 수 없구나 국화꽃은 은둔자요, 모란은 부귀자라 연꽃은 꽃 중에서 군자(君子)라 일컫는데 국화를 좋아하는 사람 도잠(陶潛) 이후 드무네 그 사람은 누구인가, 그런 사람 어디 있나 연꽃을 좋아하고 아끼는 그런 사람 모란을 좋아하는 사람은 마땅히도 많겠지 2018
시조로 바꾸어 쓴 두보(杜甫)의 시(詩) 春日江村五首(춘일강촌오수) 1 - 봄날의 강촌 1 農務村村急(농무촌촌급) 春流岸岸深(춘류안안심) 乾坤萬里眼(건곤만리안) 時序百年心(시서백년심) 茅屋還堪賦(모옥환감부) 桃源自可尋(도원자가심) 艱難昧生理(간난매생리) 飄泊到如今(표박도여금) 농부들의 농사일은 마을마다 늘 바쁜데 봄빛 담아 흐르는 물 두둑마다 깊어가네 만리(萬里)를 바라보던 안목, 백 년 세월 지난 듯 도리어 초가집이 글짓는 데 알맞으니 스스로 조금하면 무릉도원 찾겠구나 몰라서 오래도 표랑하다 지금 여기 왔구나 春日江村五首(춘일강촌오수) 2 - 봄날의 강촌 2 迢遞來三蜀(초체내삼촉) 蹉跎又六年(차타우륙년) 客身逢故舊(객신봉고구) 發興自林泉(발흥자림천) 過懶從衣結(과나종의결) 頻遊任履穿(빈유임리천) 藩籬頗無限(번리파무한) 恣意向江天(자의향강천) 저 멀리 가고 싶던 삼촉(三蜀) 땅에 갈마드니 뜻 이루지 못한 나날 다시 또 여섯 해라 옛 친구 흥취 일어남은 숲과 샘이 있어설세 -03 너무도 게을러서 마음대로 옷을 매고 자주 자주 놀다보니 신 닳도록 맡겨둔다 울타리 자못 끝없으니 마음대로 강(江)에 가네 -04 春日江村五首(춘일강촌오수) 3 - 봄날의 강촌 3 種竹
제9회 홍천전국민요경창대회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제8회 벽파 국악대제전 전국 국악 경연대회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제13회 안비취대상 전국민요경창대회 ■ 대회목적 故안비취 명창을 기리기 위해, 사단법인 한국의소리 숨에서 주최하는 민요경연대회로서 전국의 경기민요 신인들을 발굴·육성하는 권위있는 국악 등용문으로 정착시키고, 경기민요의 전승과 보급에 기여하고자 하는 대회입니다. 국악의 대중화는 물론 우리문화의 세계적인 진출과 전통민요의 위상을 한층 더 높이는데 그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 일시 예선 : 2023년 10월 29일 (일) 오전10시 (비대면 영상 심사) 본선결승 : 2023년 11월 5일 (일) 오전10시 (학생/일반/신인/명창부) 대면심사 본선경연 종료 후 축하공연 마치고 시상식 진행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비대면 수상자 상장수령은 주소로 우편발송 합니다) * 예선은 비대명 동영상 심사로 진행되며, 본선은 “학생부, 신인부, 일반부, 명창부” 만 대면으로 심사 진행됩니다. 본선경연, 축하공연 영상 “Youtube 이호연TV” 채널에서 검색하세요 ■ 장소 예심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39길 47, Mstory 아트홀 본선·결승 : 서울특별시 강남구 봉은사로 406, 국가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풍류극장1층 ■ 주최 / 주관 (사)한국의소리 숨
제26회 강원전국국악경연대회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제30회 달구벌전국국악경연대회 달구벌전국국악경연대회가 30주년을 기념하여 국제부도 신설하여 주변 외국인 및 해외동포 국악공부를 하는 친구들의 많은 참가 독려 부탁드린다고 한다. 판소리, 기악, 무용, 연희, 민요, 병창 6개 분야 전종목 예선 영상 심사, 본선 대면심사이고 해외 및 전국 어디에서든 영상으로 대회 참가를 편리하게 하고 수상이 확보된 사람만 현장으로 와서 안정권에서 편안하게 기량을 펼칠수 있도록 하기위해 이번 달구벌 30주년을 기념하며 기획하게 되었다고 한다. * 아래 첨부문서의 참가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제4회 송파 전국국악경연대회 * 아래 첨부문서의 참가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제20회 악성 옥보고 전국 거문고 경연대회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제41회 경주전국국악대제전 ■ 대회개요 목 적 - 전국의 재능 있는 국악 신인들을 발굴 · 육성하여 권위 있는 국악 등용문으로의 정착 - 국악의 올바른 전승, 보존 및 저변확대 기간 및 장소 2023. 9. 9(토) ~ 9. 10(일) 2일간, 경주시 화랑마을 주 최 경주시, (사)신라천년예술단 주 관 (사)한국국악협회경상북도지회, (사)신라천년예술단 후 원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경상북도,경상북도교육청, 경상북도경주 교육지원청, (사)한국예총경상북도연합회, (사)한국국악협회경북지회경주지부 참가자격 - 일반부 : 만 19세 이상 (대학생 포함) - 학생부 : 초 ․ 중 ․ 고등학교 재학생 또는 검정고시 과정중인자 - 신인부 : 만 19세 이상 비전공자 ※ 초등부와 신인부 전부문 및 중등부 ․ 고등부 타악부문은 단체참가 가능 (일반부 타악부문은 단체참가 불가) ※ 참가제한 : 본 대회에서 각 부문별 최고상 수상경력자 또는 타 대회에서 본 대회 각 부문별 최고상과 동일한 훈격의 수상경력자 경연부문 - 일반부 : 관악, 현악, 가야금병창, 무용, 민요, 타악 - 학생부 : 관악, 현악, 가야금병창, 민요, 타악 - 신인부 : 기악 ․ 무용 ․ 민요 ․ 타악 참가
제27회 충북민속예술축제 청주시 예선대회 대회요강 1. 운영계획 2. 신청기간 및 접수 가. 참가신청서 교부 - 청주예총 홈페이지 (www.cjart21.org) - 국악타임즈 홈페이지 (www.gugaktimes.om) 나. 참가신청서 접수 : 2023년 6월 20일 (화) ~ 7월 4일 (화) 18:00 - 제출서류 : 참가신청서 (별도양식 총 3매), 단체사진 2매 - 우편접수 : (28480) 충북 청주시 청원구 향군로 94번길 7 (충북문화예술인회관) 2층 국악협회 - 메일접수 : chungbukkukak@hanmail.net - 팩스접수 : 팩스 043) 257-6217 - 접수문의 : 전화 043) 257-6218 3. 일반사항 가. 경연시간 : 1팀 / 15분 이내 - 시간초과 시 감점, 15분 초과 시 징, 호각(기타도구)로 초과표시 알림 - 경연시간은 대회사정에 의해 변동되어 당일 재공지 될 수 있음 나. 출전자격 - 현재 청주시에 주민등록이 되어있는자 - 중등부, 고등부, 일반부 (중복출전 불가) 다. 지도자는 연고에 관계없이 지도 가능함 - 대리로 경연대회 출연 적발 시 수상 취소 - 구성인원 : 사물놀이 4명 이상, 풍물 25명 이상,
제26회 울산광역시 전국 국악경연대회 ■경연대회개요 ○ 기간 : 2023년 7월 8일(토) ~ 9일(일) ○ 장소 : 울산문화예술회관(소공연장 / 아트홀 / 야외공연장) ○ 주최 · 주관 : 울산광역시 · (사)한국국악협회 울산광역시지회 ○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 울산광역시교육청, 국립국악원, (사)한국국악협회, (사)한국예총울산광역시연합회, 국악타임즈 ○ 접수기간 : 2023년 6월 7일(수) ~ 7월 5일(수)17시까지 도착(소인유효) ○ 접수방법 : www.울산국악협회.org - 공연소식 - 국악경연대회 공지글에서 참가신청서 양식 다운가능 (※단체는 단원 전체의 명단과 사진 별도 제출, 홈페이지 참조) 1. 인터넷접수 www.울산국악협회.org – 팝업창 통하여 참가신청서 작성 2. 접수방법 (신청서) 참가신청서는 양식 다운받은 후 이메일로 신청서 제출! 접수 이메일 – usgugakcontest@daum.net 3. 우편 접수 (44705) 울산 남구 삼산중로74번길 12, 칠성빌딩 5층 4. 문의전화 052-266-4764 ○ 참가비 : 무료 ○ 지정고수비 : 예선-5만원 / 본선-10만원 (예선 고수비는 경연전인 7월6일까지 계좌로 입금, 본선
상주종합국악제 모정 이명희 명창 추모 제16회 상주 전국 국악 경연대회 1. 목적 상주를 빛낸 문화인물 (故)모정 이명희 명창의 뜨거웠던 애향심을 받들어 전통음악의 보존육성과 대중화를 위하고 우수한 국악인재 발굴 육성함과 동시에 전국 국악인들과 참여하는 전국 국민들에게 전통예술을 사랑하는 삼백의 도시 상주를 알린다. 2. 방침 스승이신 (故)만정 김소희 국창이 만드신 ‘상주아리랑’을 제자인 (故)모정 이명희 명창과 함께 널리 보급화시키고자 그녀의 어릴 적 태어나 자란 고향 상주에 2008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정신문화 창달에 기여하고자 하는 전국국악경연대회로 계속 이어지고 있다. 또한 전국의 국악 신인 발굴 육성과 권위있는 국악 등용문으로 정착시키고, 우수한 국악 인재를 발굴하여, 훌륭한 전통 국악의 전승 보전과 우리 전통예술의 육성 창달에 기여하고, 객관적이며 공정하고 엄격한 대회가 될 수 있도록 운영규정을 제정 매년 연례 행사로 시행한다. 3. 행사 개요 ■ 일시 : 2023년 7월 16일(일) 09:00 ~ 17:00 ■ 장소 : 상주문화회관 ■ 대상 : 초등부, 중 · 고등부, 일반부 ■ 종목 : 1. 판소리 2. 기악 3. 무용 · 연희 4. 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