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울산 청년, 인구 줄었지만 주택보유율·출산율 높아”

청년 출산율·주택보유율은 ‘7대 특·광역시 중 1위’

 

국악타임즈 관리자 기자 | 울산시가 ‘2021 울산광역시 청년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울산시는 조선업 불황 등에서 시작된 지역의 청년인구 감소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청년이 행복한 울산’을 만들기 위해, 지난 2017년부터 2년 마다 ‘울산광역시 청년통계’를 작성해 왔다.


‘2021 울산광역시 청년통계’는 통계청 등 최근 5년의 공공기관 행정자료와 울산광역시 사회조사 자료를 취합했으며, 울산에 거주하는 ‘만 15세에서 34세를 대상’으로 △인구 △가구 △주거 △일자리·창업 △복지 △건강 △교육 △참여 총 8개 부문 117개 항목을 분석했다.

이 중 인구와 출산율, 일자리, 주택을 중심으로 울산 청년의 현재를 정확하게 진단하면서 울산 청년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대안을 고민하고자 한다.


■ 인구 “청년, 4년 새 5만여 명 감소…결혼·출산율은 높아”


2020년 12월 31일 기준 울산광역시의 청년인구*는 26만 8,410명이었다.


2016년 31만 7,750명과 비교하면 4년 새 4만 9,340명 감소했다. 울산의 전체 인구 대비 청년인구 비율도 2016년 27.1%에서 2020년 23.6%로 낮아졌다. 이는 전국 평균인 23.9%보다 낮은 수치였다.


청년의 전출사유는 ‘직업 48.9%’, ‘가족 17.5%’, ‘교육 17.2%’ 순으로 나타나, 일자리가 인구 감소에 주된 원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입사유 또한 ‘직업 41.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가족 38.0%’, ‘주택 8.2%’ 순이었다.


청년 유입을 위해서는 ‘양질의 일자리’ 마련이 가장 중요함을 보여준다.


2020년 청년의 연령별 출산율은 여성인구 천 명당 38.2명으로 2016년 56.9명 보다는 18.7명 감소했지만, 7대 특·광역시 중에서는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구·군별로는 신혼부부가 많은 북구의 출산율이 54.4명으로 가장 높았고, 중구가 28.6명으로 가장 낮았다.


■ 가구 “울산 신혼부부 2쌍 중 1쌍, 주택 소유”


2020년 울산의 청년 세대주 가구는 53,018가구였는데, 이중 절반 넘게 1인 가구였다.


청년 1인 가구 비율은 지난 2016년 46.5%에서 2020년 55.1%로 증가했지만, 7대 특·광역시 중에서는 인천 다음으로 낮은 수준이었다.


울산의 신혼부부는 지난 2019년 기준 3만 431쌍이었는데, 54.2%가 주택을 소유하고 있었다. 이는 7대 특·광역시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치다.


구·군별 신혼부부 주택소유 비율은 북구가 57.6%로 가장 높았고 중구가 45.5%로 가장 낮아, 출산율과 동일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2019년 울산의 신혼부부 30,431쌍 중 ‘맞벌이’는 12,078쌍으로 39.7%, ‘외벌이’가 16,406쌍으로 53.9%였다.


7대 특·광역시 중에서는 울산의 맞벌이 신혼부부 비율이 가장 낮지만, 2016년부터 2019년까지 맞벌이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2019년 울산 신혼부부의 자녀 출산 여부를 살펴보면, 맞벌이 신혼부부의 59.2%, 외벌이 신혼부부의 70.3%가 자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혼부부의 출산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맞벌이 신혼부부를 위한 맞춤형 육아지원 제도가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주거 “울산 청년 주택 소유율, 7대 특·광역시 중 1위”


2019년 울산의 청년 중 ‘주택소유자*’는 울산광역시 청년 인구의 8.0%인 21,276명이었다.


이는 전국 평균인 6.3%보다 1.7%p 높고, 7대 특·광역시 중에서도 가장 높은 수치이다.


구·군별 청년 주택소유자 비율은 북구가 10.4%로 가장 높고, 중구가 5.8%로 가장 낮았다.


청년이 소유한 주택의 85.5%가 아파트였고, 84.6%가 시내에 소재하고 있었다. 청년 소유 주택의 가격은 ‘0.6억 초과~1.5억 이하’가 43.9%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5억 초과~3억 이하’ 36.7% 순이었다.


■ 일자리 “청년 고용·경제활동 참가율 모두 감소 추세”


울산의 청년 일자리 시장은 코로나19 이후 고용이 감소하면서 다소 먹구름이 드리워진 상태이다.


지난해 하반기 기준 울산광역시 청년인구의 고용률은 47.6%(전국평균 51,3%), 경제활동 참가율은 51.6%(전국평균 55.0%)를 나타냈고, 실업률은 7.8%(전국평균 6.8%)였다.


다행인 것은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하면, 하반기의 고용률과 경제활동 참가율이 모두 상승했다는 점이다.


지난해 울산 청년의 구직신청 건수도 4만 5,412건으로 인구대비 신청률이 10.6%였다. 이는 7대 특·광역시 중 가장 높고, 부산과 동일한 수치이다.


청년구직자의 희망직종은 남성은 건설·기계·재료·화학·섬유(37.0%)를 여성은 관리·경영·금융·보험(49.1%)을 가장 선호했다.


고용보험 가입여부로 지난해 울산 청년들의 종사 산업을 살펴본 결과, ‘서비스업’이 53.1%로 가장 많았고, ‘광업·제조업’ 42.2%가 뒤를 이었다.


지난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추이를 보면, 서비스업의 비율은 높아지고 광업·제조업의 비율은 낮아지고 있다.


지난 2019년 울산의 청년 사업체는 1만 5,425개였는데, 이 중 90.7%가 서비스업 사업체였다. 서비스업 중에서는 ‘도·소매업’이 34.4%, ‘숙박·음식점업’ 21.2%, ‘그 외 서비스업’ 19.3%, ‘부동산업’ 6.7% 순이었다.


지난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청년 사업체는 증가추세이고 매년 약 20%의 사업체는 폐업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에 대한 대책으로 초기 창업교육과 컨설팅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창업 의사가 있는 울산 청년들이 희망하는 관련 정책은 ‘창업비용 지원’ 69.1%, ‘정보지원’ 14.4%, ‘창업 지원기관 설립’ 9.6% 순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복지부문을 살펴보면, 지난해 울산 청년의 공적연금 가입 인구는 12만 5,235명으로 전체의 46.7%를 차지했다. ‘국민연금’이 94.0%, ‘공무원연금’ 4.4%, ‘사학연금’ 1.6% 순이었고, 국민연금 가입 비율은 서울(95.7%)에 이어 울산이 7대 특·광역시 중 두 번째로 높았다.


교육 부문에서는, 지난해 울산 관내 고등학교 졸업자의 대학 진학률이 80.4%로 전국 17개 시도 중 경남(81.9%), 세종시(81.1%) 다음으로 높았고, 지난 2019년 울산 관내 대학 졸업자의 취업률은 69.4%로 전국 17개 시·도 중 인천광역시(70.1%) 다음으로 높았다.


‘2021 울산광역시 청년통계’는 청년이 행복한 도시 울산을 위한 정책 마련의 바탕자료로 활용되며, 울산광역시 누리집에 게시되어 시민 누구나 열람하고 활용할 수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