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관람 재개 및 청와대재단 운영 방향 관련 정부 입장 발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최희영, 이하 문체부)는 13일 보도자료를 통해 대통령 집무실의 청와대 복귀에 따라 청와대 관람 재개 및 관련 운영 방안에 대한 후속 절차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윤석열 정부 시기 설립된 청와대재단의 존치 여부에 대해서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재단을 존치하는 방향으로 예산을 편성했다.
최근 문체부 등 관계기관은 이재명 대통령의 청와대 집무실 복귀 선언 이후 존폐 논란이 제기된 청와대재단과 관련하여, 재단을 존치하고 기능을 일부 조정하는 것으로 결론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2026년도 예산안에 청와대 관련 사업비 총 160억여 원을 반영한 바 있다.
청와대 복합문화예술공간 조성 사업: 160억100만 원
사랑채 운영: 54억8400만 원
기관운영지원: 59억6000만 원
특히 사랑채는 향후 ‘청와대 웰컴센터’로 전환되어 ‘K-민주주의’ 전시·홍보·행사 공간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그간 사랑채 운영을 맡아온 한국관광공사의 역할은 청와대재단으로 이관된다.
청와대재단은 지난 2023년, 윤석열 전 대통령의 용산 이전과 청와대 전면 개방에 따라 관람·관리 기능을 위해 설립된 비영리법인이다. 그러나 대통령 집무실이 청와대로 복귀하면서 경호·보안 등 핵심 기능은 대통령실이 직접 담당하고, 재단은 관람 프로그램 운영과 홍보, 신규 사업 추진에 집중하도록 역할이 조정된다.
앞으로 청와대재단은 재단 소속 50여 명의 인력과 함께 기관 운영비, 관람 해설사 신규 채용(5명 포함) 등 관람 서비스 품질 제고에도 힘쓸 예정이다. 한편 기존의 여민2관·3관, 춘추관, 경호동 리모델링 사업은 폐지되었다.
문체부는 “청와대가 대통령 집무 공간으로 복귀한 이후에도, 청와대는 국가 상징 공간이자 국민 문화 향유의 장으로서 새로운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라며, “청와대재단은 관람객을 위한 프로그램과 홍보 사업을 중심으로 운영될 것”이라고 밝혔다.
문체부는 관계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사업의 필요성, 수행 범위, 시행 주체 등을 구체적으로 조정한 뒤 조만간 확정안을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