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十步百步(오십보백보) 위(魏) 나라 ‘혜왕(惠王)’을 만나 ‘맹자(孟子)’가 일깨웠네 전쟁 때 한 병사(兵士)가 오십 보를 도망쳤지 그런데 백 보 도망친 자를 비웃을 수 있겠는가 <語 義> : 오십 걸음 백 걸음. 오십 걸음 도망친 사람이 백 걸음 도망친 사람을 비웃는다. (조금 낫고 못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차이가 없음) <出 典> : 孟子(맹자) 梁惠王(양혜왕) 上篇(상편) 중국 春秋時代(춘추시대) 魏(위)나라 惠王(혜왕)은 나름대로 국민의 수효 증가로 富國强兵(부국강병)을 위해 노력했으나 별 효과가 없자, 孟子(맹자)한테 자기 자랑 겸 묻게 되었다. 梁惠王(양혜왕)이 가로되, “과인은 마음을 다해 百姓(백성)을 다스려, 河內(하내) 지방이 흉년이 들면 河東(하동)의 곡식을 옮겨 하내 지방 百姓(백성)을 먹이고, 하동 지방이 흉년이 들면 또한 그같이 하는데, 이웃 나라의 政治(정치)를 보면 나와 같이 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런데 내 百姓(백성)이 더 많아지지 않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이 말을 듣고 孟子(맹자)가 대답하여 가로되, “왕이 戰爭(전쟁)을 좋아하시니, 그것으로 비유하여 말을 하지요. 전쟁터에서 전쟁이
無恒産無恒心(무항산무항심) 생활이 어려움에도 바른 마음 갖는 것은 선비는 가능하나 일반 백성 어렵다지 경제적 안정이 없으면 바른 마음 못 갖네 <語 義> : 일정한 재산이 없으면, 일정한 마음도 없다. (생활이 안정되지 않으면, 바른 마음을 유지하기 어렵다.) <出 典> : 孟子(맹자) 梁惠王篇(양혜왕편) 上(상) 중국의 성인 孟子(맹자)에게 어느 날 濟(제)나라 宣王(선왕)이 정치에 대하여 묻자, “백성들이 배부르게 먹고 따뜻하게 지내면, 王道(왕도)의 길은 자연히 열리게 된다.”며, 그는 다음과 같이 대답하였다. “경제적으로 생활이 안정되지 않아도 항상 바른 마음을 가질 수 있는 것은 오직 뜻있는 선비만 가능한 일입니다. 일반 백성에 이르러서는 경제적 안정이 없으면, 항상 바른 마음을 가질 수 없습니다. 진실로 항상 바른 마음을 가질 수 없다면, 방탕하고 편벽되며 간사하고 사치하여, 이미 어찌할 수가 없게 됩니다. 그들이 죄를 범한 후에 법으로 그들을 처벌한다는 것은 곧 백성을 그물질하는 것과 같습니다. 그리고는 이어서 ‘어떻게 어진 임금이 백성들을 그물질할 수 있습니까?’ 하고 반문하였다.” <原 文> 無恒産而有恒心者(무
去者不追來者不拒(거자불추내자불거) 호향(互鄕) 사는 한 소년이 ‘공자(孔子)’를 찾아왔네 가르침을 청했다지 ‘공자(孔子)’가 반겨 맞네 ‘공자(孔子)’는 지위와 신분 가리지를 않았지 <語 義> : 가는 자 쫓지 말고, 오는 자 막지 말라 (가는 사람 붙들지 말고 오는 사람은 물리치지도 않음) <出 典> : 孟子(맹자) 盡心下(진심하) 孟子(맹자)가 藤(등)나라의 上宮(상궁)에 거처하고 있을 때였다. 등나라는 맹자가 태어난 鄒(추)나라와 가까운 나라로, 등나라 임금 文公(문공)은 세자로 있을 때부터 맹자를 찾아가 가르침을 청한 일이 있었다. 그가 임금이 되었을 때, 맹자의 가르침에 따라 토지개혁을 단행한 일도 있었다. 맹자는 가는 곳마다 대단한 환영을 받았으며, 또 그의 가르침을 받고자 많은 사람들이 맹자를 찾아왔다. 그런데 맹자가 起居(기거)하는 여관의 일꾼이 미투리를 삼다가 창틀 위에 올려놓았으며, 맹자 일행의 방을 차지하여 들어갔다. 그의 가르침을 받은 사람들이 다 돌아간 다음, 일꾼은 다시 신을 삼고자 창가로 가보았으나 신이 보이지 않았다. 다른 일 보는 사람이 보기가 흉해서 어디로 치웠을지도 모를 일이었다. 그러나 그 사람은 누군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 浩然之氣(호연지기) 호연(浩然)은 넓고 큰 모양 크고도 넓은 기운 천지를 가득 채운 크고도 넓은 정기(精氣) 무엇에 구애(拘礙)받지 않는 바르고도 큰 기운 <語 義> : 하늘과 땅 사이에 가득 찬 넓고 큰 원기. (거침없이 넓고 큰 기개, 자유롭고 유쾌한 마음) (어떤 일에도 구애받지 않는 떳떳한 기운이나 도덕적 용기) <出 典> : 孟子(맹자) 公孫丑章句上(공손추장구상) 孟子(맹자)가 齊(제)나라에서 제자 公孫丑(공손추)와 나눈 대화이다. 공손추가 不動心(부동심)에 대한 이야기 끝에, “선생님이 제나라의 대신이 되어서 道(도)를 행하신다면, 제나라를 틀림없이 천하의 覇者(패자 : 제후의 우두머리)로 만드실 것입니다. 그러면 선생님도 아마 動心(동심 : 책임을 느껴 마음을 움직임)하실 것입니다.” “나는 40이 넘어서부터는 마음이 움직이는 일이 없네.” “마음을 움직이지 않게 하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맹자는 그것을 勇(용)이라 말하였다. 심중에 부끄러움이 없으면, 어떠한 것이나 두려워하지 않는다. 이것이 大勇(대용)이라 하였다. “선생님의 不動心(부동심)과 告子(고자 : 맹자와 논쟁의 적수로, 맹자의 성선설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 匹夫之勇(필부지용) 하늘을 즐기는 자 천하를 보존하고 하늘이 두려운 자 나라 하나 보존하지 용기(勇氣)도 크고 작음 있나니 큰 용기가 필요하네 <語 義> : 하찮은 남자의 용기. (소인의 혈기에서 나오는 경솔한 용기) (깊은 생각 없이 혈기만 믿고 함부로 부리는 소인의 용기) <出 典>① : 孟子(맹자) 梁惠王章句(양혜왕장구) 下(하) 孟子(맹자)는 王道政治(왕도정치)의 실현을 위해, 여러 나라를 돌며 遊說(유세)하기로 하고, 먼저 梁(양)나라로 갔다. 양나라 惠王(혜왕)은 맹자를 정중히 맞이하고서, 이웃 나라와는 어떻게 국교를 맺는 것이 좋겠는가를 물었다. 이에 맹자가, “大國(대국)은 小國(소국)에게 받드는 마음으로, 겸허한 태도로 사귀지 않으면 아니 되옵니다. 이는 仁者(인자)라야 할 수 있는 어려운 일이지만, 은나라의 蕩王(탕왕)이나 주나라의 문왕(文王)은 이미 이것을 행하였습니다. 또한, 小(소)가 大(대)를 받드는 것도 하늘의 도리이오나, 실천하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나 武王(무왕)의 할아버지 대왕이 그것을 행하였기 때문에 주나라는 뒤에 대국을 이루게 되었고, 越(월)나라 왕 勾踐(구천)은 숙적 吳(오
飽食暖衣(포식난의) 배부르고 몸은 따뜻 더 바랄 일 있겠냐만 사람에겐 도(道)가 있어 가르침이 필요하네 사람이 가르침 없으면 뭇 짐승과 가깝지 <語 義> : 배부르게 먹고, 따뜻하게 옷을 입는다. (의식이 넉넉하여 불편함이 없이 편하게 지냄) <出 典> : 孟子(맹자) 滕文公章句上(등문공장구상) 四(사) 중국의 성인 孟子(맹자)가 60세가 지나, 滕(등)나라의 文公(문공)에게 초대되어 갔을 때, 周(주)나라처럼 井田法(정전법)을 실시하여 등나라를 이상적인 사회로 만들도록 문공을 설득하였다. 이 때 墨子(묵자)의 영향을 받은 重農主義者(중농주의자)인 許行(허행)이 宋(송)나라로부터 등나라에 와서, 문공으로부터 살 집과 田土(전토)를 받았다. 그는 자기가 짠 거친 옷을 입고, 자기가 경작하여 지은 양식을 먹고 사는 主義(주의)를 실천하고 있었다. 유교의 생활 방식을 버리고, 허행과 같은 생활을 시작한 陳相(진상)이라는 사람이 맹자에게, “등나라 임금도 백성들과 마찬가지로 손수 농사를 지어서 먹어야 하지 않느냐?” 고 하였다. 맹자는 허행이 사용하는 농기구와 질그릇이 자기가 지은 농산물과 물물 교환한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한 다음, ‘인간의 생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 採薪之憂(채신지우) 땔나무도 못 할 만큼 나무꾼의 깊은 우환(憂患) 신하가 임금에게 자신의 병 일렀던 말 후대엔 자신의 병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語 義> : 나무꾼의 憂患(우환). 땔나무를 할 수 없는 우환. (신하가 임금에게 자신의 병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出 典> : 孟子(맹자) 公孫丑章句下(공손추장구하) 二(이) 孟子(맹자)가 장차 齊(제)나라 왕에게 문안드리러 가려고 하였을 때, 왕이 사람을 시켜서 말을 전해 왔다. “寡人(과인)이 가서 만나볼 것이나, 감기가 들어서 바람을 쐴 수 없다. 선생이 나와 주시면 만나볼까 한다. 혹시 과인이 만나볼 수 있게 해 주실는지?” 맹자도 또한 대답하여 가로되, “불행히도 병이 있어, 문안을 드리러 나갈 수가 없습니다.” 그 이튿날 맹자가 東郭氏(동곽씨) 댁에 弔問(조문 : 남의 죽음에 대하여 슬퍼하는 뜻을 드러내어 상주를 위로함)하러 나가려고 하였다. 公孫丑(공손추)가 말하기를, “어제는 병이 났다 하여 나가는 것을 謝絶(사절 : 요구나 제의를 받아드리지 않고 물리침)하고, 오늘은 조문하러 나가시니 혹시 잘못된 것이 아닙니까?” 맹자 가로되, “어제 앓다가 오늘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故事成語) 중과부적(衆寡不敵) 소국(小國)은 큰 나라를 대적(對敵)할 수 없습니다 소수(小數)는 많은 수를 대적할 수 없습니다 약자(弱者)는 진실로 강자를 대적할 수 없습니다 <語義> : 무리가 적으면 대적할 수 없다. (적은 수효로 많은 수효를 이기지 못함) <出典> : 孟子(맹자) 梁惠王章句(양혜왕장구) 上七(상칠) 중국 全國(전국) 시대, 여러 나라를 순방하며, 王道論(왕도론 : 선한 본성에서 우러나오는 덕치)을 역설하던 孟子(맹자)가 齊(제)나라 宣王(선왕, B.C.455~B.C.405. 전국칠웅에 속하는 제나라를 부흥시킨 왕)에게 말했다. “殿下(전하)! 스스로는 放逸(방일 : 제멋대로 거리낌 없이 방탕하게 놂)한 생활을 하시면서, 나라를 강하게 만들고 천하의 覇權(패권)을 잡으려 드시는 것은 그야말로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하는 것[緣木求魚(연목구어)]’과 같사옵니다.” “아니, 과인의 행동이 그토록 나쁘단 말이오?” “가령, 지금 소국인 鄒(추)나라와 대국인 楚(초)나라가 싸운다면, 어느 쪽이 이기겠나이까?” “그야, 물론 楚(초)나라가 이길 것이오.” “그렇다면 소국은 진실로 대국을 대적할 수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故事成語) 자포자기(自暴自棄) 스스로를 해치는 사람 대화 상대 아니로다 덕을 쌓지 않는 것도 스스로를 포기한 것 바른 길 가지 않는 사람 이 세상엔 많도다 <語義> : 자신을 스스로 해치고 버린다. (몸가짐이나 행동을 되는 대로 취함) (마음에 불만이 있어 자기 자신을 스스로 버리고 돌보지 않음) <出典> : 孟子(맹자) 離婁上篇(이루상편) 중국 戰國時代(전국시대)를 살다간, 亞聖(아성) 孟子(맹자, B.C.372~B.C.289)가 다음과 같이 말했다. 自暴者 不可與有言也(자포자 불가여유언야) 스스로를 해치는 자와는 더불어 말을 할 수 없다. 自棄者 不可與有爲也(자기자 불가여유위야) 스스로를 버리는 자와는 더불어 일을 할 수 없다. 言非禮義 謂之自暴者也(언비예의 위지자포자) 예의가 아닌 일을 말하는 자를 일러 스스로를 해치는 자라 하고, 吾身不能居仁由義 謂之自棄者也(오신불능거인유의 위지자기자야) 인의를 실천할 수 없다는 자를 일러 스스로를 버리는 자라 한다. 仁人之安宅也(인 인지안택야) 어짊[仁(인)]은 사람이 거할 편안한 집이요, 義人之安路也(의 인지안로야) 옳음[義(의)]은 사람이 밟아야 할 바른 길이다.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故事成語) 인자무적(仁者無敵) 양(梁)의 ’혜왕(惠王)’ ‘맹자’에게 가르침을 청했더니 선정(善政)을 베풀라네 어진 정치 베풀라네 자고로 어진 사람에겐 적이 없다 하였네 <語義> : 어진 사람은 적이 없다. (어진 사람은 모든 사람이 사랑하므로, 세상에 적이 없음) <出典> : 孟子(맹자) 梁惠王章句上(양혜왕장구상) 四(사) ~ 五(오) 중국 춘추전국시대, 孟子(맹자. B.C.372~B.C.289)가 魏(위→나중에 梁으로 개칭)나라 梁惠王(양혜왕. 재위 B.C.370 ~ B.C.319)을 만났을 때의 이야기이다. 양혜왕이 말하였다. “寡人(과인)은 차분히 가르침을 받들고자 합니다.” 맹자께서 물으셨다. “사람을 죽이는 데 몽둥이를 사용하는 것과 칼을 사용하는 것이 차이가 있습니까?” 왕이 말하였다. “차이가 없습니다.” “사람을 죽이는 데 칼을 써서 하거나, 虐政(학정)으로 하는 것이 차이가 있습니까?” 왕이 대답하였다. “차이가 없습니다.” 맹자께서 말씀하셨다. “왕의 주방에 살진 고기가 있고, 마구간에는 살진 말이 있는데, 백성들에게는 굶주리는 기색이 있고 들에 굶어 죽은 시체가 나뒹굴고 있다면, 이것은 짐
제10회 홍천전국민요경창대회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제14회 안비취대상 전국민요경창대회 ■ 대회목적 故안비취 명창을 기리기 위해, 사단법인 한국의소리 숨에서 주최하는 민요경연대회로서 전국의 경기민요 신인들을 발굴·육성하는 권위 있는 국악 등용문으로 정착시키고, 경기민요의 전승과 보급에 기여하고자 하는 대회입니다. 21c를 맞아 국악의 대중화는 물론 우리문화의 세계적인 진출과 전통민요의 위상을 높이며 문화예술창달에 기여하고 공정하며 엄격한 대회를 운영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 일시 예 심 : 2024년 11월 4일(월) 오전 10시 (비대면 영상 심사) 본 선 : 2024년 11월 10일(일) 오전 10시 (학생 고등/신인/일반/명창부) 대면 심사 시 상 : 결승종료 후 역대수상자 축하공연 마치고 단심 수상하신 분들과 같이 시상식 진행 ※ 예선은 비대면 동영상 심사로 진행되며, 본선은 학생(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명창부 만 대면으로 심사 진행됩니다. ※ 예선결과는 한국의소리 숨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비대면 단심 경연하신 수상자분들도 본선 시상식에 꼭 참석하여 상장수령 합니다. ※ 본선경연, 축하공연 영상은 “Youtube 이호연TV” 채널에서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
제27회 창원전국국악경연대회 요강 ■ 기간 2024.11. 2.(토-예선) ~ 11. 3.(일-본선) ■ 장소 창원시늘푸른전당(경남 창원시 의창구 두대로 97/☎055-712-0372) ■ 주최 창원전국국악경연대회 조직위원회 ■ 주관 도지정전문예술단체 손양희국악예술단, 경상남도 판소리보존회 ■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남도교육청, 경남신문, 경상남도창원교육지원청, MBC경남, 창원KBS, 경남도민일보, 경남메세나협회 특별후원 : 주식회사 부경 ■ 경연부문 ▷판소리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기 악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민요·가야금 병창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무 용 : 초·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풍 물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 참가자격 ▷일반부 - 대학생을 포함한 만 18세 이상의 모든 남, 여 ▷신인부 – 만 18세 이상의 모든 남, 여 ▷중·고등부 –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또는 이에 준하는 자 ▷초등부 -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 경연시간 ■ 참가비 전체 없음. ■ 고수비 전체 없음. ■ 경연시간 안내 ※ 접수확인 및 순번표
제3회 삼국유사 전통음악전국경연대회 요강 ■ 기간 2024.10. 5.(토요일-예, 본선) ■ 장소 인각사 특설무대(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 삼국유사로 250/☎054-383-1161) ■ 주최 대한불교조계종 인각사 ■ 주관 삼국유사전통음악경연대회추진위원회, 전문예술단체 손양희국악예술단 ■ 후원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본사 은해사, 대구광역시청, 국가 유산청, 대구광역시교육청, 군위군, ■ 특별후원 홈센타홀딩스, 보광산업 ■ 경연부문 ▷판소리 :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민 요 :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 참가자격 ▷일반부 - 대학생을 포함한 만18세 이상의 모든 남, 여 ▷신인부 – 만18세 이상의 모든 남, 여(전공자 참가 불가) ▷중·고등부 –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또는 이에 준하는 자 ▷초등부 -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 경연시간 참가비, 고수비 : 전체 없음. ■ 경연시간 안내 ※ 접수확인 및 순번표 배부 시간 : (시간 엄수) 고등부,일반부 - (08:40~09:00), 신인부 - (10:30~10:50), 초,중등부 – (12:00~12:20) ※ 예선 진
제27회 강원전국 국악경연대회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2024 대한민국 왕중왕전 국악 예술제 참가자 모집 한국전통문화계승선양회(약칭: 한문회, 대표 김선풍)가 2024년도 대한민국 왕중왕전 국악 예술제 참가자를 모집한다. 이 행사는 전통문화의 보존과 계승을 목적으로 하며, 민요, 판소리, 무용 등 세 가지 분야에서 참가자를 모집한다. 경연 부문은 민요(잡가, 경서도민요, 남도민요, 토속민요, 창작민요 중 선택), 판소리(다섯 바탕 중 선택), 무용(궁중무용, 민속무용, 신무용 중 선택)으로 구성된다. 전문인(전공자/이수자)과 일반인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나이 제한은 없다. 단, 예능보유자, 보유자 후보, 조교, 대통령상 수상자는 참가가 제한된다. 예술제 예선은 9월 14일(토) 세종대왕기념관 2층 실내공연장에서, 본선은 9월 29일(일) 동대문구청 실내대강당에서 열린다. 종합대상 수상자에게는 상금 100만원과 국회문화체육관광위원장상이 수여되며, 대상, 금상, 은상 수상자에게는 국회의원상, 서울시의회의장상 등이 주어진다. 상금은 각각 50만원, 30만원, 10만원이 수여된다. 접수는 7월 24일부터 9월 13일까지 진행되며, 각 부문별로 선착순 40명으로 마감된다. 참가를 원하는 사람은 한국전통문화계승선양회
제21회 화순전국국악대제전 * 아래 첨부문서의 참가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제4회 정광수 전국판소리경영대회 * 아래 첨부문서의 참가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2024년 가야국악대전 제14회 전국국악경연대회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2024 진도 전국 가무악 대제전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