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시립창극단 제62회 정기공연 〈애(愛)춘향〉... 사랑과 이별, 운명과 구원의 서사로 빚어낸 창극의 정수
광주시립창극단이 오는 11월 7일(금)과 8일(토), 광주예술의전당 대극장에서 제62회 정기공연 〈애(愛)춘향〉을 선보인다.
이번 작품은 판소리 다섯 바탕의 정신을 이어받은 창극의 본질 위에 현대적 감성을 더해, 인간 내면의 사랑과 구원, 그리고 운명을 주제로 한 서사로 무대에 오른다.
창극 〈애(愛)춘향〉은 사랑의 본질을 탐구하는 서사로, 광한루의 달빛 아래에서 피어난 몽룡과 춘향의 정념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두 사람은 눈빛만으로 서로의 마음을 확인하지만, 신분의 벽과 세상의 굴레가 그들을 갈라놓는다. 몽룡은 떠나기 전, 하늘과 땅을 증인으로 영원을 맹세하지만 결국 춘향은 옥에 갇혀 고통의 나날을 보낸다. 그럼에도 두 사람의 마음속 사랑은 단 한 번도 사라지지 않는다.
새로운 권력자 변학도의 등장으로 억압은 극에 달하고, 춘향은 고통 속에서도 절개를 꺾지 않는다. 옥중의 춘향은 죽음을 각오하고도 ‘쑥대머리’를 부르며 자유를 염원하고, 그 절규는 백성들의 한과 맞닿는다. 결국 몽룡은 암행어사가 되어 진실을 밝히고 춘향을 구해낸다. 두 사람은 다시 광한루의 달 아래에서 재회하며, 사랑과 용서, 구원의 노래를 부른다. 창극 〈애(愛)춘향〉은 인간의 사랑이 운명을 넘어설 수 있는 힘임을 웅장하고도 섬세한 음악과 연기로 그려낸다.
이번 공연에는 광주시립창극단을 대표하는 명창들이 총출동한다. 몽룡 역에는 박무성이 출연하며, 춘향 역은 이미소와 이서희가 번갈아 무대에 오른다. 월매 역에는 정선심, 변학도 역에는 장영한과 박형진이 출연하여 긴장감 넘치는 극의 중심을 잡는다.
방자 역의 박준현, 향단 역의 윤세인, 그리고 정령몽룡·정령춘향 역의 이찬솔·이정민은 극의 내면적 감정선을 섬세하게 표현하며 새로운 창극의 미학을 선보인다.
이번 공연의 총감독을 맡은 김용호 예술감독은 한국창극의 현대적 계승과 대중화를 선도해온 인물이다. 한국학 <전통예술> 박사이자 국립국악원(부산, 남도) 악장을 엮임했고, 정읍시립국악단 등에서 폭넓은 예술 행정을 수행해온 그는 “창극의 본질은 인간의 감정과 서사를 음악으로 형상화하는 예술”이라며, “〈애(愛)춘향〉을 통해 관객이 전통의 미학 속에서 인간의 사랑과 구원의 의미를 다시 발견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제작진으로는 연출 김영봉, 대본 홍석환, 작곡 김성국, 작창 주소연, 안무 정숙희·한명선, 무대디자인 박은혜, 조명 이유진 등이 참여했다. 음악, 무용, 무대미술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해 완성도 높은 창극을 구현할 예정이다.
1989년 창단된 광주시립창극단은 판소리의 성지 예향(藝鄕) 광주의 문화적 뿌리를 이어온 예술단체다. 〈쑥대머리〉, 〈안중근〉, 〈이순신〉 등 굵직한 창작창극을 선보이며, 전통예술의 계승과 발전을 통해 국악의 대중화·현대화에 기여해왔다. 이번 정기공연 〈애(愛)춘향〉 또한 전통 창극의 정통성과 현대적 감수성을 잇는 대표적 시도로 평가된다.
광주시립창극단은 앞으로도 창작 레퍼토리 개발을 통해 광주의 예향 정신을 계승하고, 전통예술이 지닌 감동을 현대 관객에게 전달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