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국립국악원] 망자와 산자를 위한 위로, 국악관현악으로 만나는 굿 한마당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정기공연 ‘전통의 재발견 VI – 굿’, 9월 25~26일 개최

 

망자와 산자를 위한 위로, 국악관현악으로 만나는 굿 한마당

 

국립국악원(원장 직무대리 강대금) 창작악단(예술감독 권성택)이 오는 9월 25일(목)과 26일(금) 양일간 예악당에서 정기공연 ‘전통의 재발견 VI – 굿'을 선보인다. 이번 무대는 국악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지역별 굿을 국악관현악으로 새롭게 풀어낸 창작 작품들로 꾸며져, 망자와 산자를 향한 축원과 위로의 자리를 마련한다.

 

굿 음악, 국악관현악으로 재탄생

 

‘전통의 재발견’ 시리즈는 2021년부터 이어온 창작악단의 대표 기획으로, 전통의 원형을 토대로 새롭게 작곡한 작품을 국악관현악 편성으로 초연하는 무대다. 지난 4년간 총 21작품을 선보인 가운데, 올해는 굿 음악을 주제로 한 4편의 협주곡이 첫선을 보인다.

 

이번 무대를 위해 이고운, 박한규, 김백찬, 정송희 등 개성이 뚜렷한 4명의 작곡가가 창작에 참여했다. 협연자로는 각 지역 굿을 대표하는 명인들이 함께해 전통의 본령을 직접 무대 위에 펼쳐 보인다. 국립국악원 민속악단 예술감독 유지숙, 부산 기장 오구굿 보유자 김동언, 진도씻김굿 이수자 이태백, 남해안별신굿 보유자 정영만이 무대에 올라 깊이 있는 굿의 세계를 이끈다.

 

지역별 굿의 정서, 네 편의 협주곡으로

 

첫 번째 무대는 이고운 작곡의 〈서도소리와 국악관현악을 위한 다리굿〉. 평안도 다리굿을 소재로 망자의 넋을 달래고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았다. 서도소리의 독특한 음색이 더해져 굿판의 절제된 울림을 관현악으로 확장한다.

 

두 번째 작품은 박한규 작곡의 〈신이로구나〉. 전남 진도의 씻김굿을 바탕으로 죽은 이의 혼을 씻어내고 산 자의 평안을 기원하는 의식을 음악으로 재현한다. 협연자로 나선 아쟁 명인 이태백은 씻김굿의 현장감을 고스란히 전하며, 관현악과의 조화를 통해 원형과 현대적 해석을 잇는다.

 

세 번째 무대는 김백찬 작곡의 〈국악관현악 협주곡 – 초망자굿〉. 동해안 오구굿 가운데 초망자굿을 중심으로 구성했으며, 변화무쌍한 장단과 고도의 음악성을 국악관현악으로 풀어냈다. 김동언 보유자가 직접 협연자로 나서 깊은 현장성을 불어넣는다.

 

마지막으로 정송희 작곡의 **〈산수계〉**는 남해안 별신굿의 풍류와 축제적 성격을 되살린 작품이다. 삼현육각의 흥겨운 선율과 함께 제례·연희·가무악의 조화가 무대 위에 펼쳐진다. 정영만 보유자가 협연에 참여해 별신굿 특유의 생명력을 더한다.

 

굿, 위로와 화해의 장으로

 

굿은 단순한 제의가 아닌 공동체의 위로와 화해의 장이자, 한국 전통문화의 원형적 에너지를 담아낸 예술이다. 이번 공연은 국악관현악이라는 현대적 틀 안에서 굿의 정서를 새롭게 펼쳐내며,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또 다른 가능성을 보여줄 예정이다.

 

국립국악원 창작악단의 정기공연 ‘전통의 재발견 VI – 굿’은 9월 25일(목)과 26일(금) 저녁 7시 30분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열린다. 예매는 국립국악원 누리집(www.gugak.go.kr) 또는 전화(02-580-3300)를 통해 가능하며, 관람료는 S석 3만원, A석 2만원, B석 1만원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