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선린우호(善隣友好)의 상징 조선통신사 11월 3일 일요일 아침 이곳 오카야마현(岡山縣) 세토우치시(瀬戸内市) 우시마도정(牛窓町) 데지마 공원(出島公園) 일대에서 조선통신사 재현행사가 개최된다는 이야기를 듣고 궁금함이 생겨 먼 거리를 여행하게 되었다. 도착한 우시마도는 나의 예상과 달리 한적한 바닷가 시골 마을이었다. 이렇게 자그마한 항구가 조선통신사와 어떤 관련이 있길래 이런 행사를 하게 된 것일까? 조선통신사는 1607년부터 1811년까지 총 12차례 파견되었는데, 12번째 조선통신사는 대마도까지만 파견되었고, 그 앞 11번은 도쿠가와막부(德川幕府)가 있는 에도(江戸: 도쿄)까지 왕복하였다. 왕복 길은 6개월에서 1년 정도가 걸리는 긴 여정이었으며, 조선통신사가 일본에 머문 기항지는 30~50여 곳이나 되었다. 우시마도는 조선통신사가 15번이나 기항한 곳이다. 2017에는 한·일 양국의 민간이 주도하여 조선통신사 기록물 333점(한국기록물 124점, 일본 기록물 209점)이 유네스코 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는데, 그 가운데 우시마도의 기록물 9점도 포함되어 있어 그 역사를 증거하고 있다. 특히, 조선통신사 중 심부름을 하던 소동(小童)들이 추던 춤이 이
범패(梵唄)에 젖어 드는 진관사(津寬寺) 수륙재(水陸齋) 10월 셋째 주말 조선왕조에서 공인한 유일한 불교 의례였던 수륙재가 벌어지는 진관사에 사람들이 구름처럼 모여들었다. 이곳 진관사는 원래 신혈사라는 작은 암자였으나 고려 거란전쟁을 승리로 이끈 현종이 증축해 주면서 그 절 주지스님 이름으로 명명(命名)된 절이다. 현종은 대량원군 시절에 천추태후가 김치양과의 간통으로 낳은 아들에게 왕위를 잇게 하고자 하여 그녀에게 죽임을 당할 위기에 처했었는데, 신혈사 주지인 진관(津寬)의 보호로 왕이 될 수 있었다. 이런 역사를 간직한 진관사는 기암적벽의 아름다운 북한산을 배경으로, 알록달록 막 단풍이 물들기 시작한 수림이 어우러져 나의 마음을 어지럽히었다. 진관사 일주문 수륙재(水陸齋)는 물(水)과 땅(陸) 위를 떠도는 귀신을 위해 명복을 비는 불공 즉 제사(齋)를 뜻한다. 이 불교 의식은 굶어 죽은 귀신인 아귀에게 음식을 베푸는 인도의 시아귀회(施餓鬼會)에서 유래된 의례로, 고려 광종 시기에 중국에서 유입된 것으로 추정한다. 불국(佛國)을 표방했던 고려에서 수륙재는 연등회, 팔관회와 더불어 행해졌던 거대한 불교 의식 중 하나로 주로 죽은 망자를 천도(薦度)하는 의식으
백두산 너머 북간도 아리랑 중국 동북 방향에 자리 잡은 길림성, 흑룡강성, 요녕성의 3성을 동북삼성이라고 부른다. 이 지역은 역사적으로 고조선, 고구려, 발해의 영토였으며, 일제 강점기 항일 투쟁의 본고장이었다. 현재 약 200만 가까이 살고 있는 우리 민족은 중국 내 55개 소수민족 중 문화와 교육 수준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지난여름 교사 40여 명은 일주일 일정으로 독립운동가의 후손인 조선의용대 마지막 분대장 김학철 선생 아드님이신 김해양 선생님, 이육사 선생 따님이신 이옥비 여사, 안중근 의사 여동생 안성녀 여사의 손자이신 권혁우 선생님 부부를 모시고 길림성의 연변 조선 자치주, 흑룡강성의 하얼빈, 요녕성의 대련 세 지역의 항일운동 유적지를 답사하였다. 우리들이 독립운동가의 후손을 모시고 답사를 하게된 이유는 이랬다. 프랑스는 2차세계대전 이후 친나치 행위를 한 사람을 3만 명이나 처단하여 역사적 단죄를 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우리는 해방 이후 친일파를 청산하지 못하고 오히려 그들의 주도하에 근대화와 산업화가 이루어진다. 그러다 보니 그들의 눈엣가시인 독립운동가들과 그 후손들은 궁핍한 생활을 면치 못했다. 북쪽 또한 영향력 있는 독립운동가들을 김일
전통 국악의 향연: 최은서의 서도소리 배뱅이굿 완창 발표회 '애이불비(哀而不悲)' 오는 8월 31일, 서울 종로구 창신아트홀에서 서도소리 배뱅이굿 이수자인 최은서의 두 번째 완창 발표회가 열린다. 이번 발표회는 서도소리의 전통을 이어가며 전통 예술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무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발표회는 최은서의 깊이 있는 서도소리 배뱅이굿 해석을 통해 전통 판소리의 아름다움과 역사적 가치를 다시금 느낄 수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발표회는 두 개의 섹션으로 나뉘어 진행되며, 첫 번째 섹션에서는 배뱅이의 탄생과 성장, 배뱅이와 상좌중의 사랑과 죽음을 주제로 한 소리로 연주되고 두 번째 섹션에서는 팔도무당굿과 탁주집의 평양 건달과 평양 건달의 거짓 무당굿이 서도소리의 다양한 매력을 한껏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발표회에는 장단 김연수, 피리 강완규, 대금 장진엽, 해금 박선영 등 국악의 명인들이 함께하여 무대의 깊이를 더할 것이다. 이들의 연주는 전통의 숨결을 고스란히 담아내며, 관객들에게 국악의 진수를 느낄 수 있는 시간을 선사할 것이다. 또한, 서도소리의 맥을 이어갈 차세대 국악인들이 무대에 올라, 국악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 소중한 순간을 만들어갈 예
백제의 음악 정읍(井邑) 세계가 경탄한 수제천(壽齊天)이 되다! 지금까지 전하는 우리 음악 가운데 가장 오래전 만들어진 것으로 평가되는 곡이 바로 정읍(井邑)이다. 정읍(井邑)은 백제의 노래로 백제멸망 이후에도 민중들의 입을 통해 구전되어 오다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궁중음악으로 편입된다. 이에 세종의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는 《악학궤범》에 그 노랫말이 우리글로 기록되어 지금까지 전할 수 있었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안타깝지만 그 노래는 잊혀지고 반주음악만 남게 되었다. 지금은 그 음악을 정읍(井邑)보다 수제천(壽齊天)이라 부르고 있다. 이 수제천은 1970년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된 제1회 유네스코 아시아 음악제에서 전통음악 분야 최우수곡으로 특선 되었고, 당시 심사위원들이 ‘천상의 소리’라고 극찬한 것이 대서특필(大書特筆)되기도 하였다. 정읍은 지명이기도 해서 본 칼럼에서는 혼동을 막기 위해 음악을 지칭할 때는 정읍(井邑), 노랫말만을 지칭할 때는 정읍사(井邑詞), 지명을 지칭할 때는 한자 병기 없이 '정읍'이란 표현을 사용하였다. 오늘은 백제의 노래 정읍(井邑)을 알아보겠다. 가장 오래된 우리 음악 정읍(井邑) 정읍(井邑)이 백제의 노래였음을 유추할 수 있
백제금동대향로 : 치명적인 아름다움을 지닌 경이적인 걸작 백제금동대향로(百濟金銅香爐)를 알게 된 것은 뒤 늦게 공부한 대학원의 「국악기론」이란 과목을 공부하면서였다. 그다음 만난 것은 우륵박물관에서 마주한 실물 절반 크기의 모조품이었다. 책에서 본 흑백사진의 모습과는 비교할 수 없이 멋진 입체적 모습에 반하였다. 혹시나 하여 인터넷을 뒤져 3D로 프린팅된 향로를 두 개 구해 국악칼럼을 써보라 응원해 준 친한 벗과 한 개씩 나누어 갖고, 내 것은 거실 TV 곁에 두고 흐뭇하게 지켜보았다. 지난봄에는 학생들과 함께 찾은 용산전쟁기념관 지하 1층에서 실물 크기의 모조품을 또 마주하였다. 그 크기가 상상했던 것 이상으로 당당해서 놀라움을 감출 수 없었다. 그래 실물을 보자! 볼 때마다 나의 시선을 붙잡아 두는 그 매혹적인 녀석을 찾아 백제의 마지막 수도 부여를 향하였다. 드디어 도착한 부여, 운전의 피로를 씻어줄 냥 대향로로타리가 나를 반갑게 맞이했다. 부여 대향로로타리 백제의 수도는 세 곳이었다. 첫 번째 수도는 위례성(한성)으로 서울 몽촌토성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백제(百濟)는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이 본처의 아들인 유리(琉璃)를 세자로 삼자, 둘째 처였
강릉단오제, 아직도 인류에게 이런 축제가 남아있다는 것은 기적!!!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강릉단오제 강릉단오제는 1967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고, 2005년 11월에는 UNESCO 세계무형유산으로 등재됐다. 단오제를 지켜본 유네스코 심사위원들은 “아직도 인류에게 이런 축제가 남아있다는 것은 기적!”이라고 표현했다 한다. 우리의 단오제를 중국의 단오절과 같은 명절로 해석하는 이도 있으나, 중국의 단오절은 초나라 시인(時人) 굴원(屈原)을 추모하는 추모제로 우리의 단오제와는 그 성격이 완전히 다르다. 굴원은 부패한 귀족들과 결탁하지 않고 세속을 떠나 지내던 시인으로 결국 왕의 부름을 받지 못한 채 강물에 투신한 인물이다. 중국인들은 존경하는 마음을 담아 그가 죽은 음력 5월 5일이면 강물에 노를 저어 물고기를 쫓고, 주먹밥과 계란 등을 던져주어 물고기들이 시신을 못 먹게 하는 의미의 추모 의식을 한다. 중국 정부는 자신의 단오절을 우리의 단오제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으로 등재하려 하였으나, 그 가치의 차이를 알아본 심사위원들은 우리의 단오제를 먼저 등재 시켰다. 우리의 단오제는 5월에 축제하던 마한에서 그 뿌리를 찾을 만큼 오랜 전통을 자랑한다. 단오를
백악지장(百樂之丈) 거문고를 찾아 악성(樂聖) 왕산악(王山岳)의 거문고 우리 음악을 이야기할 때 왕산악(王山岳), 우륵(于勒), 박연(朴堧)을 3대 악성(樂聖)으로 꼽는다. 이 중 왕산악은 거문고를 만든 인물이다. 《삼국사기》의 다음 이야기는 어린이들도 익히 아는 이야기다. 진(晉)나라 사람이 칠현금(七絃琴)을 고구려에 보내 와 이 악기를 다룰 수 있는 사람을 찾았으나 아무도 없자, 왕산악이 이 칠현금을 개량하여 새로운 악기로 만들고 100여 곡을 지어 연주하였다. 이 소리를 듣고, 검은 학이 날아와 춤을 추어 이 악기를 현학금(玄鶴琴)이라 하였고, 이후에는 현금(玄琴), 거문고라고 불렀다. 고구려 무용총의 거문고 거문고는 ‘검은(玄) 고’이며 ‘검은’은 고구려를 뜻하는 ‘ᄀᆞᆷ’과 현악기를 뜻하는 ‘고’의 합성어라는 의견이 가장 설득력 있게 받아들여진다. 일본에 전해진 고구려 음악을 고마가쿠(ごまがく:高麗樂)라고 하는데 이 고마(ごま)도 고구려의 옛 명칭의 발음과 관련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전(現傳)하는 고구려시대의 거문고 유물은 없지만, 중국 북동부와 북한 지역의 고분벽화에 그 흔적이 남아있어 그 오랜 역사를 확인할 수 있다. 왕산악이 어느 시대 사람
시라기고토(新羅琴; しらぎごと) ; 일본에 있는 가장 오래된 온전한 형태의 가야금 나라현(奈良縣) 동대사(東大寺 ; とうだいじ) 정창원(正倉院; しょうそういん) 2009년 5월 나라현(奈良縣 ; ‘나라’라는 지명은 우리말 ‘나라’와 토지라는 뜻의 ‘나라스’에서 유래됨)에 있는 동대사(東大寺 ; とうだいじ)라는 절을 답사한 적이 있다. 들어서는 입구에서 제일 먼저 입장객을 반기는 것은 사슴들이었다. 동대사 및 불상 (사진 : 동대사 홈페이지) 걷는 길에 사슴들이 함께 어우러져 사람들 사이를 누빈다. 사슴들과 실랑이를 벌이며 걷다보면 일본 최대(1909년까지는 세계 최대)의 목조 건축물인 동대사를 마주하게 되는데 그 규모가 상당했다. 절도 절이거니와 목조건물 안에 안치된 거대한 청동 불상은 그 크기(높이 15미터, 귀 크기 2.5미터)에 압도되었다. 가히 인류무형유산으로 UNESCO에 등재될 만한 규모를 자랑한다. 이 건축물이 우리에게 의미 있는 이유는 신라 출신 목수가 총감독을 하고 불상은 백제 출신 도래인이 디자인했다는 점에 있다.(나라현 공식 홈페이지 설명임) 정창원 (사진 : 동대사 홈페이지) 국악을 공부하는 입장에서 동대사가 갖는 또 다른 의미가 있는데
가야금의 발자취를 찾아 악성 우륵의 고장 고령을 가다. 대가야를 찾아서 중학교에서 과학을 가르치는 20여 년의 교직 생활 동안 풍물 동아리를 지도하던 취미가 뒤늦은 학구열로 이어졌다. 무턱대고 시작한 공부가 박사 공부에까지 이르렀으나 그 앎이 미천하여 남들이 물으면 엉뚱한 답이나 하게 되지는 않을까 하는 두려움에 지난겨울부터 우리 음악 유산을 답사하는 여행을 시작하였다. 첫 여행의 주제는 학생들이 좋아하는 우리 전통 현악기인 가야금으로 잡았다. 가야금의 본고장을 찾기 위해 제2 중부내륙고속도로 타고 성주를 지나 고령JC에서 광주-대구 고속도로로 접어들어 고령 IC로 나갈 때쯤 다양한 크기의 거대한 봉분이 비누 거품처럼 보글보글 솟아있는 경치를 만났다. 2023년 9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대가야의 고분군이었으며, 72호 무덤까지 번호를 매겨놓을 정도로 그 규모가 상당했다. 오늘의 새로운 여정을 위해 우선 가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대가야 고분군 가야의 역사적 발자취 학창 시절을 돌이켜 보면 가야는 역사 시간에 들어는 보았으나 자세히 알지 못하는 고대국가의 이름 정도로 기억된다. 고조선,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백제, 신라, 마한, 진한, 변
제10회 홍천전국민요경창대회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제14회 안비취대상 전국민요경창대회 ■ 대회목적 故안비취 명창을 기리기 위해, 사단법인 한국의소리 숨에서 주최하는 민요경연대회로서 전국의 경기민요 신인들을 발굴·육성하는 권위 있는 국악 등용문으로 정착시키고, 경기민요의 전승과 보급에 기여하고자 하는 대회입니다. 21c를 맞아 국악의 대중화는 물론 우리문화의 세계적인 진출과 전통민요의 위상을 높이며 문화예술창달에 기여하고 공정하며 엄격한 대회를 운영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 일시 예 심 : 2024년 11월 4일(월) 오전 10시 (비대면 영상 심사) 본 선 : 2024년 11월 10일(일) 오전 10시 (학생 고등/신인/일반/명창부) 대면 심사 시 상 : 결승종료 후 역대수상자 축하공연 마치고 단심 수상하신 분들과 같이 시상식 진행 ※ 예선은 비대면 동영상 심사로 진행되며, 본선은 학생(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명창부 만 대면으로 심사 진행됩니다. ※ 예선결과는 한국의소리 숨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비대면 단심 경연하신 수상자분들도 본선 시상식에 꼭 참석하여 상장수령 합니다. ※ 본선경연, 축하공연 영상은 “Youtube 이호연TV” 채널에서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
제27회 창원전국국악경연대회 요강 ■ 기간 2024.11. 2.(토-예선) ~ 11. 3.(일-본선) ■ 장소 창원시늘푸른전당(경남 창원시 의창구 두대로 97/☎055-712-0372) ■ 주최 창원전국국악경연대회 조직위원회 ■ 주관 도지정전문예술단체 손양희국악예술단, 경상남도 판소리보존회 ■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남도교육청, 경남신문, 경상남도창원교육지원청, MBC경남, 창원KBS, 경남도민일보, 경남메세나협회 특별후원 : 주식회사 부경 ■ 경연부문 ▷판소리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기 악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민요·가야금 병창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무 용 : 초·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풍 물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 참가자격 ▷일반부 - 대학생을 포함한 만 18세 이상의 모든 남, 여 ▷신인부 – 만 18세 이상의 모든 남, 여 ▷중·고등부 –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또는 이에 준하는 자 ▷초등부 -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 경연시간 ■ 참가비 전체 없음. ■ 고수비 전체 없음. ■ 경연시간 안내 ※ 접수확인 및 순번표
제3회 삼국유사 전통음악전국경연대회 요강 ■ 기간 2024.10. 5.(토요일-예, 본선) ■ 장소 인각사 특설무대(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 삼국유사로 250/☎054-383-1161) ■ 주최 대한불교조계종 인각사 ■ 주관 삼국유사전통음악경연대회추진위원회, 전문예술단체 손양희국악예술단 ■ 후원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본사 은해사, 대구광역시청, 국가 유산청, 대구광역시교육청, 군위군, ■ 특별후원 홈센타홀딩스, 보광산업 ■ 경연부문 ▷판소리 :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민 요 :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 참가자격 ▷일반부 - 대학생을 포함한 만18세 이상의 모든 남, 여 ▷신인부 – 만18세 이상의 모든 남, 여(전공자 참가 불가) ▷중·고등부 –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또는 이에 준하는 자 ▷초등부 -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 경연시간 참가비, 고수비 : 전체 없음. ■ 경연시간 안내 ※ 접수확인 및 순번표 배부 시간 : (시간 엄수) 고등부,일반부 - (08:40~09:00), 신인부 - (10:30~10:50), 초,중등부 – (12:00~12:20) ※ 예선 진
제27회 강원전국 국악경연대회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2024 대한민국 왕중왕전 국악 예술제 참가자 모집 한국전통문화계승선양회(약칭: 한문회, 대표 김선풍)가 2024년도 대한민국 왕중왕전 국악 예술제 참가자를 모집한다. 이 행사는 전통문화의 보존과 계승을 목적으로 하며, 민요, 판소리, 무용 등 세 가지 분야에서 참가자를 모집한다. 경연 부문은 민요(잡가, 경서도민요, 남도민요, 토속민요, 창작민요 중 선택), 판소리(다섯 바탕 중 선택), 무용(궁중무용, 민속무용, 신무용 중 선택)으로 구성된다. 전문인(전공자/이수자)과 일반인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나이 제한은 없다. 단, 예능보유자, 보유자 후보, 조교, 대통령상 수상자는 참가가 제한된다. 예술제 예선은 9월 14일(토) 세종대왕기념관 2층 실내공연장에서, 본선은 9월 29일(일) 동대문구청 실내대강당에서 열린다. 종합대상 수상자에게는 상금 100만원과 국회문화체육관광위원장상이 수여되며, 대상, 금상, 은상 수상자에게는 국회의원상, 서울시의회의장상 등이 주어진다. 상금은 각각 50만원, 30만원, 10만원이 수여된다. 접수는 7월 24일부터 9월 13일까지 진행되며, 각 부문별로 선착순 40명으로 마감된다. 참가를 원하는 사람은 한국전통문화계승선양회
제21회 화순전국국악대제전 * 아래 첨부문서의 참가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제4회 정광수 전국판소리경영대회 * 아래 첨부문서의 참가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2024년 가야국악대전 제14회 전국국악경연대회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2024 진도 전국 가무악 대제전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