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로 바꾸어 쓴
비파행(琵琶行)
- 원작 : 백낙천(白樂天)
심양강 저문 날에 귀한 손을 보낼 적에
단풍잎 가을꽃에 가을바람 스산하네
주인은 말을 내리고 손은 배에 오르네
술잔 드니 거문고도 피리 소리 하나 없네
하염없이 잔을 놓고 작별 인사 나누는데
아득히 푸르른 강물, 밝은 달이 적시었네
문득 들린 비파 소리 물결 타고 들려오니
주인도 귀한 손도 갈 길을 잊는구나
비파(琵琶)를 튕기는 사람이 누구인가 물었네
비파 소리 끊겼어도 대답이 오래 없어
배를 저어 가까이 가 마주하길 청하고서
등불을 다시 밝히고 술상 다시 갖추었네
여러 차례 더 청하니 그 때 겨우 나오는데
비파(琵琶) 안은 그 모습이 다소곳이 수줍구나
줄 골라 굴대를 돌려 두어 소리 튕겨보네
본 가락이 아닌데도 그 소리에 맘 끌리니
줄줄이 타는 소리 소리마다 깊은 생각
평생에 못다 이룬 뜻 하소연을 하는 듯
머리를 수그린 채 비파에 손을 맡겨
덧없는 심사(心思)들을 모조리 쏟는구나
지긋이 눌렀다가는 되쳐 튕겨 나오네
처음 곡 ‘예상’ 이어 ‘육요’를 연주하니
큰 줄을 쏟아지는 소낙비에 비긴다면
작은 줄 작게 속삭이는 귀엣말과 같구나
큰 줄과 작은 줄이 어우러진 그 가락은
큰 구슬 작은 구슬 옥쟁반에 구르는 듯
꽃 아래 기뻐 주고받는 꾀꼬리의 소리런가
흐느끼며 돌아가는 여울물 물결 소리
높고 낮던 그 소리가 어디선가 엉기어서
막힌 채 이슥한 소리, 시나브로 스러지네
깊은 한 맺힌 한이 소스라쳐 일어나니
도리어 없는 소리 한결 깊어 더 좋아라
은 술병 깨져 쏟는 소리, 창검 쓰는 소리로세
한 곡조 끝을 내고 다시금 줄 튕기니
네 줄이 한데 합쳐 비단을 째는 소리
동서쪽 배 안에서는 숨소리도 없구나
보이나니 강 가운데 가을달만 하얗구나
깊은 한숨 뱉어내고 비파 거둬 비켜 두며
옷깃을 곱게 여미더니 감춘 얼굴 보여주네
경성(京城) 살던 계집이라 자신을 밝히는데
십삼 년 공부하여 비파(琵琶) 소리 얻게 되니
내 이름 교방(敎坊) 중에서도 제일부에 속했다오
비파 연주 마칠 때면 ‘선재(善才)로다’ 칭찬 소리
몸단장을 곱게 하면 ‘추랑(秋娘)’도 시새웠고
오릉(五陵) 촌 귀공자들은 비단 선물 다퉜다오
흥겨울 땐 은비녀와 비치개로 장단 치고
술 엎질러 비단치마 더럽혀도 봤소마는
금년도 또 다음 해도 웃음으로 즐겼다오
아우들은 군대 가고 수양 모친 세상 뜨니
세월이 가고 오고 나도 또한 늙어갔네
문 앞엔 찾아오던 말들, 갈수록 더 드물었소
늙은이에 시집 와서 장사치의 아내 되니
장사꾼은 장사 위해 너무 쉽게 집 떠나네
지난달 차(茶)를 사러 간 후 소식조차 끊겼다오
강가에 오고가는 헛된 배만 지키자니
뱃전을 감아도는 밝은 달만 차가웠고
한밤에 홀연 꿈을 꾸니 지난 청춘 그리웠소
흐느껴 우는 꿈에 내 눈시울 뜨겁구나
내 듣노니 비파 소리 모두가 탄식(歎息)일레
여인이 늘어놓는 사연, 이내 마음 더 설워라
모두 다 외롭구나, 천애(天涯)에 떠도는 삶
어쩌자고 이리 만나 서로 알게 되었는고
나도야 서울 떠나온 후 심양(潯陽)에서 병든 몸
궁벽(窮僻)한 고장이니 풍류(風流)인들 있으리오
한 해가 다하도록 한 곡조(曲調)도 못 들었네
더구나 나 사는 ‘분성’은 습기조차 많다오
바랜 갈대 거친 대[竹]로 얽어맨 낡고 헌 집
종일인들 이곳에서 무슨 가락 들리리오
두견이 피를 토하고 원숭이만 슬피 우네
봄날 아침 강꽃 보고 가을밤엔 달을 보며
가끔씩 얻는 술을 홀로 앉아 들이키면
초동(樵童)들 노래 소리와 목동(牧童)들의 피리뿐
제대로 된 가락들을 들을 길이 없었다가
오늘밤 벗이 타는 비파 소리 듣게 되니
꿈결에 들려오는 소리, 신선들의 주악(奏樂)일세
그대여 원하노니, 또 한 곡조 들려주오
그대 위해 휘날리듯 ‘비파행(琵琶行)’을 지으리다
내 말에 감동을 한 듯, 비파 줄을 고르네
먼저보다 더 섧구나, 비파 타는 저 소리여
슬퍼하는 좌중(座中)에서 누가 가장 슬퍼할까
내 옷깃 푸르게 적시네, 강주사마 적시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