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공연] 추정현, 김병호의 잊혀진 가야금병창을 되살리다

4월 24일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김병호 가야금산조와 병창’ 공연 개최

 

추정현, 김병호의 잊혀진 가야금병창을 되살리다
4월 24일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김병호 가야금산조와 병창’ 공연 개최

 

가야금 연주자 추정현이 국악계의 거장 김병호(1910~1968) 명인의 숨겨진 음악세계를 무대 위에 되살린다. 오는 4월 24일 목요일 저녁 7시 30분,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에서 열리는 공연 ‘김병호 가야금산조와 병창’은 김병호의 가야금산조 복원은 물론, 그동안 실체가 공개되지 않았던 그의 가야금병창을 최초로 선보이는 자리다.

 

이번 공연은 추정현이 국가무형유산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가 된 이후 처음 선보이는 병창 무대로, 그간의 치열한 연구와 음악적 탐색의 결실이 담긴 네 번째 산조 복원 시리즈이기도 하다. 추정현은 김병호 명인의 가야금산조 복원을 위해 가피아스 채록 음원(1966), 서울음반 SRCD-141(1967), Okeh12108/B 유성기음반(1937) 등 희귀 음원을 기반으로, 김병호 고유의 음악 어법과 음계를 충실히 반영한 연주를 준비해왔다.

 

특히 눈길을 끄는 대목은 유성기음반으로만 존재하던 김병호의 가야금병창을 무대에 올린다는 점이다. [죽장망혜]와 [토끼화상] 두 곡은 당시 음반을 채보하고 세심하게 분석하여 복원된 작품으로, 현재 정형화된 가야금병창 레퍼토리의 지평을 넓힐 획기적인 시도로 평가된다.

 

공연은 총 두 순서로 구성된다. 첫 순서에서는 김병호류 가야금산조 전바탕이 연주되며(진양조 - 중모리 - 중중모리 - 엇모리 - 자진모리 - 휘모리 - 단모리), 두 번째 순서에서는 복원된 병창 [죽장망혜]와 [토끼화상]이 무대에 오른다. 장구 반주는 전통예술집단 ‘더 굿’의 대표이자 숙명여자대학교 초빙대우교수인 윤호세가 맡는다. 사회는 음악평론가 송현민(국민대학교 겸임교수, 월간 객석 편집장)이 맡아 공연의 이해를 도울 예정이다.

 

추정현은 “김병호 명인의 음악적 유산은 여전히 깊은 생명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병창은 그동안 자료 부족으로 외면받아온 장르였기에 이번 공연이 더욱 뜻깊게 다가옵니다. 많은 분들이 함께 이 귀한 음악을 나누었으면 합니다”라고 전했다.

 

이번 공연은 국가무형유산 가야금산조 및 병창 이수자인 추정현이 주최·주관하며, 국가유산청과 국가유산진흥원의 후원으로 마련되었다. 2025년 4월 24일 목요일 저녁 7시 30분, 서울 서초동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에서 개최되며, 전석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좌석권은 공연 당일, 시작 30분 전부터 현장에서 배부된다.

 

가야금 연주는 김해전국가야금경연대회 대통령상을 수상한 바 있으며, 현재 추계예술대학교와 전남대학교에서 강의 중인 추정현이 맡는다. 장구 반주는 전통예술집단 ‘더 굿’의 대표이자 숙명여자대학교 초빙대우교수인 윤호세가 함께하며, 사회는 음악평론가이자 월간 『객석』 편집장이자 국악방송 『FM국악당』의 진행자이며, 현재 국민대학교에서 겸임교수로 재직 중인 송현민이 맡아 해설과 해석을 더할 예정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