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차탁마(切磋琢磨) 뼈나 상아(象牙) 잘라 깎고 옥돌은 쪼고 가니 정성 다한 노력으로 끊임없이 정진(精進)하네 훌륭한 군자(君子)가 되나니 백성들이 잊으리오 어의(語義) : 톱으로 자르고, 줄로 갈고, 끌로 쪼며, 숫돌에 간다. (옥이나 돌 따위를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 (학문이나 인격을 갈고 닦음.) (기술을 익히고 사업을 이룩함.) 출전(出典)① : 詩經(시경) 衛風(위풍) 淇澳篇(기오편) ※ 古代(고대) 중국의 玉(옥)을 가공하는 기술 玉(옥)의 原石(원석)을 구해서 원하는 모양으로 옥을 만드는 과정은 모두 4가지가 있다. 첫 단계는 옥을 원석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옥의 모양대로 자르는 것이다. 이 공정을 자른다는 뜻의 ‘切(절)’이라고 한다. 두 번째 공정은 썬다는 뜻의 ‘磋(차)’로 내가 원하는 모양으로 옥을 썰어내는 과정이다. 세 번째 공정은 쫀다는 뜻의 ‘琢(탁)’으로 도구로 옥을 모양대로 쪼는 과정이고, 네 번째 공정은 간다는 뜻의 ‘磨(마)’로 완성된 옥을 갈고 닦는 과정이다. 즉 ‘切磋琢磨(절차탁마)’는 자르고, 썰고, 쪼고, 갈아서 옥을 만드는 가공 공정을 말한다. 언변과 재기가 뛰어난 子貢(자공)이 스승인 孔子(공자)에게 이렇게 물었다
인자요산(仁者樂山) 마음이 어진 사람은 고요하고 겸손하네 몸가짐을 중(重)히 하니 무겁고 덕(德) 두텁네 그 마음 변함이 없으니 산과 같아 산이 좋네 어의(語義) :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 (어진 사람은 의리에 만족하여 몸가짐이 무겁고 덕이 두터워, 그 마음이 산과 비슷하므로 자연히 산을 좋아함.) 출전(出典) : 論語(논어) 翁也篇(옹야편) 二十一(이십일) 중국 춘추시대 樊遲(번지)가 知(지)를 묻자온대, 孔子(공자) 가라사대, “백성의 의로움에 힘쓰고, 귀신을 공경하되 멀리하면, 가히 知(지)라 이를 만하니라.” (번지가) 仁(인)을 묻자온대, (공자) 가라사대 “仁(인)이라는 것은 어려움을 먼저 하고 얻음을 뒤에 하면, 가히 仁(인)이라 이를 만하니라. <原文> 樊遲問知(번지문지) 子曰(자왈) 務民之義(무민지의) 敬鬼神而遠之(경귀신이원지) 可謂知矣(가위지의) 問仁(문인) 曰(왈) 仁者(인자) 先難而後獲(선난이후획) 可謂仁矣(가위인의) 孔子(공자)가 말씀하시기를, “지혜로운 자는 물을 좋아하고, 어진 자는 산을 좋아한다. 지혜로운 자는 움직이고, 어진 자는 고요하다. 지혜로운 자는 즐기고, 어진 자는 오래 산다. <原文> 子曰(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 욕속부달(欲速不達) ‘자하(子夏)’는 공문(孔門) 십철(十哲) 작은 고을 장관 됐네 고을 어찌 다스릴까 ‘공자(孔子)’께 물었더니 “서둘러 공을 이루려 하면 못 이룬다” 하였네 어의(語義) : 빨리 하려고 하면, 도달하지 못함. (일을 빨리 하려고 하면, 도리어 이루지 못한다. 조급한 심리를 경계한 말.) (욕심이 앞서서 일을 빨리 이루려고 하면, 반드시 실패한다.) 출전(出典) : 論語(논어) 子路篇(자로편) 孔子(공자)의 제자로 子夏(자하)가 있다. 그는 본명이 卜商(복상)이며, 자하는 字(자)이다. 공자의 門下(문하) 十哲(십철)의 한 사람이다. 자하가 魯(노)나라의 작은 고을 莒父(거부)의 장관이 된 적이 있다. 그는 어떻게 이 고을을 다스릴까 궁리하다가 스승인 공자에게 정책을 물으니, 다음과 같이 일러주었다. “정치를 할 때 공적을 올리려고, 고을 일을 너무 급히 서둘러서 하면 안 된다. 또한 조그만 이득을 탐내지 말아야 한다. 일을 급히 서둘러 공적을 올리려고 하다가는 도리어 목적을 이루지 못하고, 조그만 이득을 탐내다가는 온 세상에 도움이 될 큰일을 이루지 못하는 법이다.” <原文> 子夏爲父宰(자하위부재) 問
온고지신(溫故知新) 옛것 익혀 새것 알면 비로소 스승일세 옛것과 새것 사이 긴밀한 관련 있어 옛것과 새것을 알아야 참스승이 되리라 어의(語義) : 옛것을 익히고, 그것을 미루어서 새것을 앎. (옛 학문을 연구하고 현실에 대처할 수 있는 새로운 학문을 이해하여야 비로소 남의 스승이 될 수 있는 자격이 있다.) 출전(出典)① : 論語(논어) 爲政篇(위정편) 十一(십일) 孔子(공자)가 爲政篇(위정편)에서 이렇게 말했다. “옛 것을 익히어 새 것을 알면, 이로써 남의 스승이 될 수 있느니라[溫故而知新 (온고이지신) 可以爲師矣(가이위사의)].” 남의 스승이 된 사람은 古典(고전)에 대한 博識(박식)만으로는 안 된다. 즉 고전을 연구하여 거기서 현대나 미래에 적용될 수 있는 새로운 도리를 깨닫는 것이 아니면 안 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이 말은 中庸(중용)에도 나오는데, 鄭玄(정현 : 중국 후한의 경전 연구 학자)은 다음과 같이 주석을 달았다. “‘溫(온)’은 ‘옛 것을 익힌다.’는 뜻이다. ‘처음 배운 것을 익힌 뒤에 거듭 반복해서 익히는 것’이 ‘溫故(온고)’라고 한다.” 또한 周子(주자)의 해석은 다음과 같다. “배움에 있어 예전에 들은 것을 기회 있을 때마다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 양금택목(良禽擇木) 위(衛)나라 ‘공문자(孔文子)’가 ‘대숙질(大叔疾)’을 치려 할 때 ‘공자(孔子)’에게 상의하니 아는 바가 없다 했지 ‘좋은 새 나무를 가린다’며 ‘위(衛)’를 급히 떠났네 어의(語義) : 좋은 새는 나무를 가려서 둥지를 튼다. (어진 사람은 훌륭한 임금을 가려 섬긴다.) 출전(出典) : 春秋左氏傳(춘추좌씨전), 三國志(삼국지) 蜀志(촉지) 중국 春秋(춘추)시대, 儒家(유가)의 鼻祖(비조)인 孔子(공자)가 治國(치국)의 도를 遊說(유세)하기 위해, 衛(위)나라에 가서 孔文子(공문자 : 위나라의 대부)에게 의탁하고 있을 때의 일이다. 당시에 晉(진)나라 悼公(도공)의 아들 憖(은)이 그의 딸과 함께 衛(위)나라에 망명하고 있을 때였다. 위나라의 大叔懿子(대숙의자)는 도공의 딸과 혼인하여 아들 疾(질)을 낳았는데, 疾(질)은 후에 家門(가문)의 후계자가 되었으며, 憖(은)의 아들이자 疾(질)의 外叔(외숙)인 夏茂(하무)는 위나라의 대부가 되었다. 그런데 어느 날 疾(질)이 다른 나라로 망명하자, 위나라 사람들은 엉뚱하게도 하무의 封邑(봉읍)을 깎아버렸다. 이 일로 인하여 공문자(孔文子)가 대숙의자의 아들 疾(질)을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故事成語) 살신성인(殺身成仁) 도의를 따르는 사람 덕스러움 갖춘 사람 제 목숨 지키려고 어진 일을 훼손(毁損) 않네 한 목숨 바쳐서라도 어진 일을 이루네 어의(語義) : 자신의 몸을 죽여, 어질음을 이룩함. (자기의 몸을 희생하여 옳은 도리를 행함.) 출전(出典) : 論語(논어) 衛靈公篇(위령공편) 儒家(유가)의 중심 사상이 仁(인)이며, 孔子(공자)가 가장 중시했던 德目(덕목) 또한 바로 그 인(仁)이었음은 누구나 안다. 하지만 仁(인)을 한 마디로 규정하기는 매우 어렵다. 공자는 忠(충 : 충성)과 恕(서 : 용서)라고 해석했다. 쉽게 말해 타인에 대한 慈悲(자비)나 人間愛(인간애), 同情心(동정심)이라고 해도 무방할 것이다. 그래서 인은 君子(군자)가 먼저 익혀야할 德目(덕목)이기도 했다. “군자가 仁(인)을 버리고 어찌 이름을 이룰 수 있으랴?”[君子去仁(군자거인) 惡乎成名(오호성명)] 곧 仁(인)은 몸소 행동으로 實踐(실천)해야 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공자의 가르침 자체가 實踐道德(실천도덕)이었다. 물론 仁(인)이 최고의 덕목인 만큼 仁(인) 자체에는 大小(대소)의 구별이 있을 수 없으며, 그것을 행하는데 있어 輕重(경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故事成語) 聞一知十(문일지십) 우리네 보통 사람 열 배우면 하나 알지 ‘안회(顔回)’는 총명(聰明)하여 하날 듣고 열을 아네 안회(顔回)는 공문십철(孔門十哲)이요 덕(德) 실천은 으뜸일세 출전(出典) : <論語(논어)> 公冶長篇(공야장편) 어의(語義) : 한 가지를 들으면 열 가지를 안다. - 일부분을 듣고 모두를 이해한다. - 매우 총명함. 孔子(공자)는 子貢(자공)에게 顔回(안회)에 대해 물었다. “자네와 안회는 누가 더 나은가?” 자공이 대답하여 가로되, “小生(소생)이 어찌 감히 안회와 비교할 수 있겠습니까? 안회는 하나를 듣고서도 열을 알지만, 소생은 하나를 듣고서 겨우 둘을 알 정도입니다.” 공자가 가로되, “확실히 자네는 안회를 따를 수 없네. 따를 수 없는 것은 자네만이 아니라, 나도 회를 따르지 못하는 점이 있다네.” <原文> 子謂子貢曰(자위자공왈) 女與回也孰愈(여여회야숙유) 對曰(대왈) 賜也何敢望回(사야하감망회) 回也聞一知十(회야문일지십) 賜也聞一而知二(사야문일이지이) 子曰(자왈) 弗如也(불여야) 吾與女弗如也(오여여불여야) 자공과 안회는 나이가 엇비슷했으며, 둘 다 孔門十哲(공문십철) 속에 들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故事成語) 簞食瓢飮(단사표음) 도시락 밥 표주박 물 ‘안회(顔回)’의 청빈한 삶 끼니를 거르면서도 삶의 기쁨 누렸구나 ‘공자(孔子)’는 두 번씩이나 어질다고 칭찬했네 출전(出典) : <論語(논어)> 雍也篇(옹야편) 어의(語義) : 도시락밥과 표주박의 물. * ‘一簞食一瓢飮(일단사일표음)’의 준말. - 구차하고 보잘 것 없는 음식 ⇒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 孔子(공자)는 일생 동안 무려 3천 명의 제자를 두었다고 한다. 그 가운데는 子貢(자공)처럼 理財(이재)에 밝은 사람이 있었는가 하면, 子路(자로)처럼 벼슬길에 나아가 성공한 사람도 있고, 顔回(안회)처럼 가난하지만 학문을 좋아하는 사람도 있었다. 그러나 그 가운데에서도 공자가 가장 사랑하고 아끼던 제자는 안회였다. 공자는 제자들을 그 역량에 따라 평하고 그에 맞는 충고를 하곤 했지만, 안회에게만은 늘 칭찬을 잊지 않았다. 공자의 기대에 맞추어, 안회도 워낙 학문을 좋아한 나머지 나이 29세에 벌써 백발이 되었다 한다. 자공이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聞一知十(문일지십)]’며, 자신과는 비교할 수 없다고 말한 사람도 바로 안회이다. 그러나 안회는 매우 가난하여 끼니 거
시조로 새겨 읽는 고사성어(故事成語) 過猶不及(과유불급) ‘자장(子張)’ ‘자하(子夏)’ 누가 낫나 ‘자공(子貢)’이 물었더니 ‘자장(子張)’은 지나치고 ‘자하(子夏)’는 못 미친다 ‘공자’ 왈(曰) “너무 지나친 것은 못 미침과 같도다” 출전(出典) : <論語(논어)> 先進篇(선진편), 雍也篇(옹야편) 어의(語義) : 지나치면 미치지 못함과 같다. - 부족함은 물론 지나친 것도 좋지 않음. - 모든 일이 정도를 지나치면 안한 것만 못함. - Too much is as bad as little. - Excess is as bad as deficiency. 어느 날, 孔子(공자)의 제자 子貢(자공, 탁월한 외교가며 사업가. B.C.520 ~ B.C.456)이 스승에게, “子張(자장, 이름은 사)과 子夏(자하, 이름은 상) 중, 누가 현명합니까?[師與商也孰賢(사여상야숙현)].” 하고 물은 적이 있다. 지난 날, 子張(자장)이 공자에게 묻기를, “士(사)로서 어떻게 하면, 達(달)이라 할 수 있겠습니까?” 공자는 도리어 자장에게 反問(반문)하기를, “그대가 말하는 達(달)이란 무엇인가?” “諸侯(제후)를 섬겨도 반드시 그 이름이 높아지고, 卿大夫(경대부
見利思義(견리사의) “눈앞의 이익을 보면 의(義)로움을 생각하라” 각박한 현대 사회 물욕에 눈먼 세상 옛 성현 고귀한 말씀, 큰 가르침 아닌가 출전(出典) : <論語(논어)> 憲問篇(헌문편) 어의(語義) : 이익이 보일 때, 의리를 먼저 생각한다. - 눈앞에 이익이 보이거든, 먼저 그것을 취함이 의리에 합당한가를 생각함. 중국 春秋(춘추)시대, 孔子(공자)의 제자 子路(자로, B.C.542 ~ B.C.480. 중국 노나라의 정치가이자 무인)가 스승에게 ‘人間完成(인간완성)’에 대해 묻자, 공자가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智慧(지혜), 淸廉(청렴), 無慾(무욕), 勇敢(용감), 藝能(예능)을 두루 갖추고, 禮樂(예악)으로 교양을 높여야 한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이익을 보면 의로움을 생각하고[見利思義(견리사의)], (나라가)위태로움을 보면 목숨을 바칠 줄 알고[見危授命(견위수명)], 오랜 약속일지라도 전날의 자기 말을 잊지 않고 실천한다면[久要不忘平生之言(구요불망평생지언)], 역시 ‘인간완성’이라고 할 수 있다[亦可以爲成人矣(역가이위성인의).” ‘見利思義(견리사의)’는 위와 같은 공자의 답변에서 나오는 말로 ‘見危授命(견위수명)’과 대구를 이루는데,
가야금병창 최고봉 오태석 명인 기념 제17회 순천 낙안읍성 전국 가야금병창 경연대회 참가자 모집 공고 전통 음악의 본향인 순천 낙안읍성에서 오태석 가야금병창 중시조를 기리고, 가야금병창 인재 발굴과 저변 확대를 위해 전국 가야금병창 경연대회를 개최하오니 많은 신청 바랍니다. 1. 공고개요 ❍ 공고명 : 제17회 순천 낙안읍성 전국 가야금병창 경연대회 참가자 모집 공고 ❍ 공고기간 : 2025. 4. 7.(월) ~ 5. 7.(수) / 31일간 ❍ 대회기간 : 2025. 5. 10.(토) ~ 5. 11.(일) 09:00 ~ 17:00 / 2일간 ❍ 장소 : 순천 낙안읍성 동헌 (우천 시 낙안읍성 낙민관) ❍ 주최/주관 : 순천시 / (사)낙안읍성 가야금병창 보존회 2. 신청요강 ❍ 신청기간 : 2025. 4. 7.(월) ~ 5. 7.(수) 18:00까지 ❍ 신청자격 :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사람 • 초·중·고등부 : 대회 기준일 국내 초,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 대학부 : 대학생(전문대 포함) • 신인부 : 비전공자 / 가야금, 판소리 제외한 전공자는 참가 가능 • 일반부 : 전공자 / 전공 관련 학과 졸업자 또는 이에 상응하는
The 5th MAM Contest (제5회 맘 콘테스트) 제5회 밀양아리랑 창작소리 콘테스트 (The 5th Miryang Arirang creative Music Contest) 밀양아리랑의 새로운 발전방향 제시와 현대적 시선에서 재창조된 다양한 주제의 밀양아리랑 창작물 발굴을 위한 대회입니다. 여러분들의 열정과 신선한 아이디어로 탄생할 밀양아리랑을 들려주세요! 2025. 3. 7. (재)밀양문화관광재단 이사장 대회 개요 ❍ 대 회 명: 국문 제5회 밀양아리랑 창작소리 콘테스트 영문 The 5th MAM Contest (The 5th Miryang Arirang creative Music Contest) ❍ 대 회 일: 2025. 5. 25(일) ❍ 장 소: 제67회 밀양아리랑대축제 무형유산 공연장 특설무대 ❍ 주최/주관: 밀양시, 밀양문화관광재단 / 전문예술단체 퓨전국악예술단 연 참가 개요 ❍ 접수부문: 전공자, 예술인 및 전문예술단체 포함 ※시·군·도립 예술단제외 ❍ 접수기간: 2025. 4. 7.(월) ~ 5. 2.(금) 18:00까지 ‣ 접수 시 직접 촬영한 5분 내외 영상 필수 첨부 (의상 자유) ‣ 반드시 라이브로 불러야 하며 최근 6개월 이내
제27회(통합59회) 여수진남전국국악경연대회 개최요강 1. 대회목적 여수는 선조26년(1593)부터 좌수영 수군통제영으로 취고수청과 신청 그리고 교방청을 두어 향토 예능인을 양성했던 역사적 배경을 지닌 고장이다. 민족 고유의 전통음악을 보존하고자 1967년 제1회 진남제 판소리명창대회를 시작으로 국악영재의 등용문으로써 그 역할을 다해왔다. 우리나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조소녀(전라북도 무형유산 제2호 춘향가), 안애란(전라남도 무형유산 제29-2호 춘향가), 김향순(전라남도 무형유산 제29-1호 흥보가), 이임례(광주광역시무형유산 제14호 심청가), 이명희(대구광역시 무형유산 제8호 흥보가), 전인삼(전남대학교 예술대학 교수), 윤진철(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적벽가), 이난초(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흥보가), 송재영(전라북도 무형유산 제2호 심청가), 염금향, 장문희(전라북도 무형유산 제2호 심청가), 등 여러 명창들을 배출한 오랜 역사와 전통을 이어가는 대회다. 특히 진남전국국악경연대회의 명칭의 의미처럼 취고수청과 신청, 교방청이 있었던 역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판소리, 고수, 기악, 무용 부문의 인재발굴과 양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수상자들을
선운 임이조 명무의 정신계승, 전통과 창작이 공존하는 경연무대 펼쳐져... (사)한국전통춤연구회가 주최하고 선운임이조춤보존회, (사)한국전통문화예술원이 주관하는 2025 선운 전국무용경연대회가 오는 3월 15일(토) 예선과 본선을 은평문화예술회관 대극장에서, 결선은 10월 6일(월) 광화문광장 놀이마당(광화문전통페스타)에서 개최된다. 이번 대회는 한국무용의 대중화와 세계화를 위해 선운 임이조 명무의 정신을 이어받아 전승과 창조의 토대를 마련하고, 한국무용 전공자와 신인 무용인들에게 다양한 무대 경험과 표현의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대회는 전통과 창작의 경계를 허물고 한국무용 전 장르가 참여할 수 있는 무대로, 깊이 있는 전통을 계승하는 동시에 창작의 가능성을 넓히는 장이 될 것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해외에서 한국무용을 전승하는 예술가들도 참가할 수 있도록 국제부를 신설하여, 세계 각지에서 활동하는 무용인들에게도 기회를 제공한다. 경연은 8개 부문으로 학생부(초·중·고등부), 국제학생부, 신인부(비전공자), 국제일반부, 일반부, 명무부로 나뉘며, 한국무용의 전통과 창작을 중심으로 개인과 단체(2인 이상)로 참가할 수 있다. 대회 참가요강 및 신청서류는
제1회 인천심청국악제 전국판소리경연대회 - 대회 요강 □ 대회 개요 ◦ 일 시: 2024. 12.28일 (토/ 1일간) ◦ 장소 : 인천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 주최 : 인천심청국악제 전국국악경연대회 추진위원회 ◦ 주관 : 남도민요판소리연구소 ◦ 후원: 사)국악협회 사)서울전통문화협회, 사)대한민국전통예술전승원, 사)아시아문화예술협회, 사)중국동포연합중앙회, 국악타임즈, 국악신문, 사랑희망나눔운동본부 ◦ 경연부문 ▸판소리 : 학생부(초등부/ 중고등부), 일반부, 신인부, 다문화가족부 * 다문화가족부(개인및 단체포함): 판소리 민요 장르불문 □ 참가자격 ▸ 학생부: 기준일 기준 초, 중,고 재학중인 학생 ▸ 일반부: 만 19세이상의 대한민국 국민(대학 전공자포함) ▸ 신인부: 만 19세이상의 대한민국 국민 ▸ 다문화가족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및 재외동포로서 연령에 무관 □ 참가 신청 ▸ 제출서류: 참가신청서(사진부착), 학생부는 학생증사본 및 재학증명서1부 * 신청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 신청금: 없음 ▸ 신청방법: 신청서 다운받아 작성하여 제출 국악타임즈 홈페이지(www.gugaktimes.com) ▸ 신청기간: 2024.12.18~2024. 1
* 첨부문서의 참가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제10회 홍천전국민요경창대회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제14회 안비취대상 전국민요경창대회 ■ 대회목적 故안비취 명창을 기리기 위해, 사단법인 한국의소리 숨에서 주최하는 민요경연대회로서 전국의 경기민요 신인들을 발굴·육성하는 권위 있는 국악 등용문으로 정착시키고, 경기민요의 전승과 보급에 기여하고자 하는 대회입니다. 21c를 맞아 국악의 대중화는 물론 우리문화의 세계적인 진출과 전통민요의 위상을 높이며 문화예술창달에 기여하고 공정하며 엄격한 대회를 운영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 일시 예 심 : 2024년 11월 4일(월) 오전 10시 (비대면 영상 심사) 본 선 : 2024년 11월 10일(일) 오전 10시 (학생 고등/신인/일반/명창부) 대면 심사 시 상 : 결승종료 후 역대수상자 축하공연 마치고 단심 수상하신 분들과 같이 시상식 진행 ※ 예선은 비대면 동영상 심사로 진행되며, 본선은 학생(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명창부 만 대면으로 심사 진행됩니다. ※ 예선결과는 한국의소리 숨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비대면 단심 경연하신 수상자분들도 본선 시상식에 꼭 참석하여 상장수령 합니다. ※ 본선경연, 축하공연 영상은 “Youtube 이호연TV” 채널에서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
제27회 창원전국국악경연대회 요강 ■ 기간 2024.11. 2.(토-예선) ~ 11. 3.(일-본선) ■ 장소 창원시늘푸른전당(경남 창원시 의창구 두대로 97/☎055-712-0372) ■ 주최 창원전국국악경연대회 조직위원회 ■ 주관 도지정전문예술단체 손양희국악예술단, 경상남도 판소리보존회 ■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남도교육청, 경남신문, 경상남도창원교육지원청, MBC경남, 창원KBS, 경남도민일보, 경남메세나협회 특별후원 : 주식회사 부경 ■ 경연부문 ▷판소리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기 악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민요·가야금 병창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무 용 : 초·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풍 물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 참가자격 ▷일반부 - 대학생을 포함한 만 18세 이상의 모든 남, 여 ▷신인부 – 만 18세 이상의 모든 남, 여 ▷중·고등부 –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또는 이에 준하는 자 ▷초등부 -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 경연시간 ■ 참가비 전체 없음. ■ 고수비 전체 없음. ■ 경연시간 안내 ※ 접수확인 및 순번표
제3회 삼국유사 전통음악전국경연대회 요강 ■ 기간 2024.10. 5.(토요일-예, 본선) ■ 장소 인각사 특설무대(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 삼국유사로 250/☎054-383-1161) ■ 주최 대한불교조계종 인각사 ■ 주관 삼국유사전통음악경연대회추진위원회, 전문예술단체 손양희국악예술단 ■ 후원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본사 은해사, 대구광역시청, 국가 유산청, 대구광역시교육청, 군위군, ■ 특별후원 홈센타홀딩스, 보광산업 ■ 경연부문 ▷판소리 :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민 요 :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 참가자격 ▷일반부 - 대학생을 포함한 만18세 이상의 모든 남, 여 ▷신인부 – 만18세 이상의 모든 남, 여(전공자 참가 불가) ▷중·고등부 –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또는 이에 준하는 자 ▷초등부 -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 경연시간 참가비, 고수비 : 전체 없음. ■ 경연시간 안내 ※ 접수확인 및 순번표 배부 시간 : (시간 엄수) 고등부,일반부 - (08:40~09:00), 신인부 - (10:30~10:50), 초,중등부 – (12:00~12:20) ※ 예선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