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지자요수인자요산(知者樂水仁者樂山)

 

지자요수인자요산(知者樂水仁者樂山)

 

지혜로운 사람들은

흐르는 물 좋아하고

 

마음이 어진 사람

고요한 산 좋아하네

 

눈 들어

산을 바라보고

고개 숙여 물을 보리

 

어의(語義) :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한다.

                (지자는 사리에 통달하여 막힘이 없음이 물과 같아서 물을 좋아하고, 

                 인자는 의리에 밝아서 변치 않음이 산과 같아서 산을 좋아한다.)

출전(出典) : 논어(論語) 옹야편(翁也篇)

 

 

성人(성인) 孔子(공자)가 말하였다.

 

“지혜로운 자는 물을 좋아하고, 어진 자는 산을 좋아한다. 지혜로운 자는 움직이고, 어진 자는 고요하다. 지혜로운 자는 즐기고, 어진 자는 오래 산다.”

 

<原文> 智者樂水 仁者樂山(지자요수 인자요산) 智者動 仁者靜(지자동 인자정) 智者樂 仁者壽(지자락 인자수)

 

孔子(공자)의 말은, 지혜로운 사람들과 어진 사람들의 일반적인 성격과 행동 경향을 설명한 것이다. ‘지혜로운 사람’은 식별력이 높다. 자신과 맺어지는 인간관계에 관심이 많아 항상 겸허한 자세를 가지려 노력한다. 두루 흘러 맺힘이 없는 것이 물과 같기 때문에 물을 좋아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키기 위해 항상 돌아다니며 관찰하고 즐기기를 좋아한다.

 

반면에 ‘어진 사람’은 의리를 중시하여, 옮기지 않는 것이 산과 같다. 그래서 산을 좋아한다고 하였다. 늘 자신과 하늘의 관계에만 관심을 두기 때문에 모든 가치를 위에다 두고 있다. 그리고 호기심이 적어 한 곳에 가만있기를 좋아하여 고요한 성격이 많다. 또한 마음을 가다듬고 물질적 욕구에 집착하지 않으니 오래 산다.

 

즉, ‘지혜로운 사람[智者(지자)]’의 마음은 밝고 깨끗하기 때문에 이해심이 깊고 넓다. 그래서 흐르는 물처럼 시대와 환경에 따라 항상 새롭게 산다는 뜻이다. 반면에 ‘어진 사람[仁者(인자)]’이 산을 사랑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그것은 움직이지 않고 변하지 않으며 고요하기 때문이다.

 

* 두향은 퇴계의 그런 마음을 깊이 헤아렸다. 그녀는 이렇게 물었다.

 

“이 누각을 二樂樓(이요루)라고 지은 것은, 논어 ‘옹야편’ 의 智者樂水 仁者樂山(지자요수 인자요산)에서 나온 것이옵니까?”

 

“그렇다네. 눈을 들면 산이고 고개를 숙이면 물이니, 이보다 더 좋은 교실이 어디 있겠는가.”

 

“어찌 하여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는지요?”

 

“어질다[仁(인)] 함은 바른 생각을 굳게 지키며 한뜻으로 세상을 견딜 수 있어야 하니 산처럼 우뚝 솟아 풍상을 견뎌야 할 것이고, 지혜롭다[智(지)]함은 세상의 흐름과 사물의 이치를 살필 수 있는 것이니, 물처럼 낮은 데로 흐르면서 막힌 곳을 만나면 피하여 가야 하지 않겠는가.”

 

※ 퇴계와 두향의 사랑 이야기

退溪(퇴계) 李滉(이황)은 21세에 김해 허씨와 결혼했으나, 세 아들을 낳고 6년 만에 산후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두 번째 아내는 사화를 겪으면서 정신 이상으로 고통을 겪다가 퇴계 나이 46세에 사별했다. 2년 후 퇴계는 48세 때 단양군수로 부임한다. 그곳에서 만났던 官妓(관기) 두향은 18세. 두향은 시, 서, 화와 가야금에 능했으며, 매화를 매우 좋아했다. 두 사람은 마음이 깊이 통했고, 그러나 인연을 맺은 뒤 9개월 만에 이별을 맞이한다.

 

두 사람은 그렇게 짧은 인연을 마지막으로 퇴계 선생이 69세의 나이로 생애를 마감할 때까지, 21년 간 두 번 다시 직접 만난 적은 없다고 한다. 하지만 평생 서로를 애틋하게 여기고 마음속으로 품었다. 선생은 죽을 때까지 두향이 좋아한 매화를 정성으로 길렀으며, 두향은 남한강가에 움막을 치고 선생을 그리워하며 살다가, 선생의 訃音(부음)을 듣고, 남한강에 몸을 던져 이황의 뒤를 따랐다고 전해진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