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속보] 국립국악원장 인사 논란에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33인 “공모절차 중단하고 재공모하라”

“조화와 열정의 문화예술계 되살려야… 편 가르기·관치행정 규탄”

지난달 3월 25일에 열린 국립국악원 관치행정 반대 기자간담회

 

국립국악원장 인사 논란에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33인 “공모절차 중단하고 재공모하라”

 

국가무형유산 보유자 및 명예보유자 33인이 국립국악원장 인사를 둘러싼 논란에 대해 강한 우려를 표하며 문화체육관광부에 공모절차의 중단과 재공모를 촉구했다. 이들은 4월 7일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국립국악원 조직개편과 행정공무원의 원장 임명 추진은 교육·연구 기능을 축소시킬 수 있다”며, “이 같은 개편은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행정직 공무원의 국립국악원장 임명에 강력히 반대한다”며 “국악에 대한 깊은 전문성과 유수한 역량을 갖춘 최적임자를 찾기 위해 현재 진행 중인 공모절차를 즉각 중단하고 재공모를 실시하라”고 촉구했다.

 

특히, 이번 입장문은 문화체육관광부의 인사 방식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들은 “오랜 역사 속에서 한민족의 풍부하고 섬세한 감성이 빚어낸 우리 전통문화가 오늘날 세계적인 관심을 모으는 한류의 바탕이 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라며, “이 같은 전통문화를 가꾸고 지원해야 할 문화체육관광부가 ‘특정 학교 출신의 독점’이니 ‘국악인만 응모하도록 하는 법’이니 하며 사실과 다른 이야기로 국악계를 폄훼하고 편 가르기를 조장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태도는 국민에게 국악에 대한 그릇된 오해를 낳게 하며, 관치행정을 자행하려는 작금의 태도”라며 “이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문체부는 조속히 본연의 자세로 돌아와 조화의 아름다움과 뜨거운 열정이 가득한 문화예술계를 조성하는 데 앞장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또한, 이들은 국악계의 진통을 더 나은 미래의 문화 환경 조성을 위한 ‘과정’으로 이해해야 하며, 국민이 전통예술의 가치를 삶 속에서 향유할 수 있도록 문화행정의 방향을 전환할 것을 주문했다.

 

국가무형유산 공연예술종목 보유자·명예보유자

고흥곤(악기장)
김경배(가곡)
김경배(서도소리)
김광숙(서도소리)
김수연(판소리)
김영기(가곡)
김영자(판소리)
김일구(판소리)
김중섭(처용무)
김청만(판소리고법)
문재숙(가야금산조)
사재성(피리정악 및 대취타)
양승희(가야금산조)
원한기(가야금산조)
윤진철(판소리)
이난초(판소리)
이동규(가곡)
이상룡(종묘제례악)
이생강(대금산조)
이재화(거문고산조)
이준아(가사)
이춘목(서도민요)
이춘희(경기민요)
이호연(경기민요)
이흥구(학연화대합설무)
장명화(구례향제줄풍류)
정재국(피리정악 및 대취타)
조순자(가곡)
조운조(종묘제례악)
조창훈(대금정악)
최충웅(종묘제례악)
황규남(가사)
정화영(서울시 판소리고법)
(이상 참여자 33인)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