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심층취재] ‘무고(舞鼓)’ 논란, 전통 명칭 차용 문제에 문체부·연출진 침묵…책임 있는 해명 필요

고유명사화된 전통 명칭을 공연 타이틀로 사용한 논란에도 불구, 문체부·연출진 공식 입장 없어
명확한 해명 없이 논란 방치하는 문체부·국립무용단
공공기관이 전통문화 기획 시 가져야 할 책임과 검증 과정의 필요성
문체부와 연출진, 책임 있는 해명 필요

‘무고(舞鼓)’ 논란, 전통 명칭으로 삼고무와 오고무를 공연하는 모습

 

‘무고(舞鼓)’ 논란, 전통 명칭 차용 문제에 문체부·연출진 침묵…책임 있는 해명 필요

 

고유명사화된 전통 명칭을 공연 타이틀로 사용한 논란에도 불구, 문체부·연출진 공식 입장 없어

 

국립무용단이 설날음악회에서 선보인 ‘무고(舞鼓)’ 공연과 관련해 논란이 커지고 있지만, 이를 주최한 문화체육관광부와 공연을 기획한 연출진이 어떠한 공식적인 입장도 내놓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큰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공연의 변형 자체보다 ‘무고’라는 역사적 고유명사를 공연 제목으로 사용하고도 본래 내용과 다른 연출을 선보였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무부처인 문체부와 국립무용단은 이에 대한 명확한 해명을 내놓지 않고 있다.

 

더 나아가, ‘상선약수’와 같은 전통적으로 확립된 개념도 이번 공연에서 원형과 다른 방식으로 표현되었으나, 이에 대한 연출 의도조차 설명되지 않은 채 논란이 방치되고 있는 상황이다.

 

명확한 해명 없이 논란 방치하는 문체부·국립무용단

 

‘무고’와 ‘상선약수’ 공연에 대한 논란이 확산되는 가운데, 문화체육관광부는 행사 주최 기관으로서 이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아야 하지만, 현재까지 문체부 관계자나 공연 연출진 누구도 이에 대한 해명이나 설명을 내놓지 않고 있다.

 

전통예술이 시대의 흐름에 맞춰 변화할 수 있다는 것은 예술계에서 공감하는 부분이지만, 문제의 본질은 전통적 고유명사를 공연 타이틀로 차용하면서도 원형과 전혀 다른 공연을 진행한 점에 있다. 관객과 전문가들의 비판이 계속 제기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최 측이 이를 방관하는 듯한 태도를 보이는 것은 더 큰 문제를 낳고 있다.

 

한 국악계 관계자는 “공공기관이 전통예술을 다룰 때는 단순히 공연을 기획하고 선보이는 것만이 아니라, 그 기획의 방향성과 명칭 사용에 대한 책임감도 가져야 한다. 논란이 발생했다면 이에 대한 적극적인 소통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번 사안에서는 오히려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공공기관이 전통문화 기획 시 가져야 할 책임과 검증 과정의 필요성

 

전통을 현대적으로 변형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그 과정에서 역사적으로 확립된 명칭을 사용할 경우, 반드시 신중한 검토와 설명이 필요하다. 이번 사안처럼 전통예술의 명칭과 내용이 불일치할 경우, 관객들에게 잘못된 인식을 심어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문화체육관광부가 직접 주최한 행사임에도 불구하고, 공연의 연출 과정에서 전문가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조차 의문이다. 문체부는 전통예술을 보호하고 계승해야 할 주무부처임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전통예술의 명칭을 변형해 혼란을 초래한 공연이 그대로 무대에 올려지도록 했다는 점에서 무책임한 행보를 보이고 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한 전통예술 연구자는 “전통문화 콘텐츠를 기획할 때 단순히 ‘현대적 변형’을 목적으로 삼는 것이 아니라, 그 변형이 전통을 올바르게 해석하는 과정인지, 명칭과 내용이 일치하는지에 대한 사전 검토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문체부와 연출진, 책임 있는 해명 필요

 

이번 논란이 지속되는 가운데, 문체부와 국립무용단은 공연을 기획한 과정과 명칭 사용의 근거, 향후 개선 방향 등에 대해 분명한 입장을 밝혀야 한다.

 

공공기관이 주관하는 전통예술 공연에서조차 명칭과 내용이 불일치하는 사례가 반복된다면, 앞으로도 전통예술의 본질이 희미해지고 관객들에게 혼란을 주는 사례가 계속될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문체부와 공연 연출진이 어떤 해명을 내놓을지, 그리고 앞으로 전통예술 기획에서 이러한 문제를 어떻게 방지할 것인지에 대한 대응이 시급하다.

 

전통예술은 보호되어야 할 문화유산인 동시에 시대와 소통하며 발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그것이 특정한 전통 명칭을 차용하면서도 그 원형과 다른 방식으로 연출되는 것을 정당화하는 근거가 될 수는 없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공연 관계자들은 이제라도 이에 대한 입장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 공연 기획의 창의성과 전통 명칭의 신중한 사용 사이에서 적절한 균형을 찾는 것이야말로, 공공기관이 전통예술을 다룰 때 반드시 가져야 할 기본적인 책임이다.

 

국악타임즈의 모든 기사는 5개 국어로 실시간 번역되어 세계와 소통합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