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반야바라밀다심경 金剛般若波羅蜜多心經 - 당나라 현장법사의 번역본을 바탕으로 관자재 보살님이 반야밀다(般若蜜多) 행하실 때 오온(五蘊)이 다 공(空)임을 꿰뚫어 보신 후에 그 모든 괴로움에서 훌훌 벗어나셨다 들으라 사리자(舍利子)야, 색(色)이 공(空)과 다르잖다 공(空)이 색(色)과 다르잖고, 색이 곧 공(空) 공이 곧 색(色) 그렇다, 수·상·행·식(受想行識)도 역시 또한 그러하다 들으라 사리자(舍利子)야, 이것이 곧 공(空)의 상태 생기지도 아니하고 소멸도 하지 않고 더럽도 깨끗도 않고, 늘도 줄도 않는다 그러니 사리자야, 공(空)에는 색도 없다 수·상·행·식 또한 없고, 안·이·비·설(眼耳鼻舌) 신·의(身意) 없고 색·성·향(色聲香) 거기다 미·촉(味觸) 그 법(法) 또한 없도다 안계(眼界)도 또한 없고, 의식계(意識界)도 역시 없다 無明(무명)도 역시 없고, 무명 消滅(소멸) 또한 없다 노사(老死)도 노사 소멸도 없고, 고·집·멸·도 또한 없다 지혜도 또한 없고 성취도 없음이라 성취가 없게 되어 반야(般若)에 의지하니 마음에 모든 걸림이 없고, 두려움도 없어라 헛된 생각 멀리 떠나 최상 열반(涅槃) 이르나니 삼세(三世)의 모든 부처 반야밀다(般若蜜
시조(時調)로 바꾸어 쓴 상춘곡(賞春曲) 번거로운 세상사에 묻혀 사는 분들이여 자연 속에 살아가는 이내 삶이 어떠한가 옛 사람 그 운치(韻致) 그 멋, 미쳤는가 못 미쳤나 천지간(天地間) 남자 몸이 나 같은 이 많건마는 자연에 묻혀 사는 이 즐거움 모르는가 산림(山林)의 주인 되어 사는 지극한 낙(樂) 모를까 자그마한 초가 한 간 시내 곁에 지어 놓고 소나무 숲 대나무 숲 울타리 삼았으니 자연의 주인 되었네, 이 즐거움 어이하리 엊그제 겨울 지나 새봄이 돌아오니 복숭아꽃 살구꽃은 저녁놀에 아름답고 버들잎 향기로운 풀은 빗속에서 푸르구나 칼로 오려냈나, 묘하도다 저 자태(姿態)여 붓으로 그렸는가, 아름다운 모습이여 조물주 신비로운 솜씨 예서제서 야단일세 수풀 속 우짖는 새 봄기운을 못 이기어 가지마다 울음소리 소리마다 아양일세 새와 나 한몸 되었으니, 네 흥 내 흥 다를까 사립문 앞 걸어보고 정자(亭子) 위에 올라 앉아 시(詩) 한 구절 읊조리니 산중(山中) 하루 적적한데 한가론 참다운 그 맛을 나만 홀로 즐기네 이봐요 여러분들, 산수(山水) 구경 가보세나 풀밟기는 오늘 하고 목욕일랑 내일 하세 아침엔 봄나물 캐고 저녁에는 낚시하세 갓 괴어 익은 술을 칡 두건
국악타임즈 관리자 기자 | 시조로 바꾸어 쓴 꽹과리 ‘소’ 훈련 십계명 꽹과리 ‘소’ 훈련은 반복에 반복일세 습관적인 반복이나 타성(惰性)으론 이룸 없네 몸에 밴 습관만으로는 공력(功力) 쌓기 어렵네 ‘공력’이란 무엇인가, 보이잖는 커다란 힘 똑같아 보이지만 그 무언가 다른 것은 공력의 결과물이요, 내 마음의 산물(産物)일세 열 가지 원칙(原則)들은 꽹과리의 원칙이요 더 나아가 모든 타악 좋은 원칙 될 수 있네 그 모든 예술의 벼리요, 정수리가 될 수 있네 1. 하나씩 쳐라 가락을 칠 때에는 하나씩 쳐야 하네 ‘갠지’를 친다 하면 ‘갠지’만 치라는 것 ‘갠지’를 한번 치고나서 다시 ‘갠지’ 쳐야 하네 연주할 땐 모든 가락 연결하여 치지만은 그 연결도 따져 보면 하나하나 붙임이니 ‘갠지’를 하나씩 하나씩 정성 들여 치라는 것 타악의 모든 시원(始原) ‘신악(神樂)’에 연원(淵源) 두니 연주가 곧 신께 드리는 음악이란 말이로세 자신의 최고 가락을 최고(最高) 신(神)께 드리는 것 일타(一打) 일타 마음 모아 모든 정성 드리는 건 연주자의 기본이요, 깨어 있음 담아낸 것 연주자 의식(意識) 세계가 또렷해야 해내네 들에 핀 작은 꽃도 생명 다해 피었나니 꽃을 보는
국악타임즈 관리자 기자 | 시조로 바꾸어 쓴 황순원의 소 나 기 소년은 개울가에서 소녀를 보자 마자 윤 초시네 증손녀임을 금방내 알아챘다 소녀는 개울이 신기한 듯 물장난을 하고 있다 며칠째 이어지는 하교길의 물장난을 오늘은 징검다리 한가운데 앉아서 한다 소년은 개울둑에 앉아 비키기를 기다릴 뿐 다음날 조금 늦게 개울가로 나왔더니 소녀가 징검다리 한가운데 앉아서는 마냥 흰 목덜미 보이며 낯을 씻고 있었다 분홍색 스웨터를 소매를 걷어 올리고 물 속 빤히 들여다보다 갑자기 물을 움켜 물고기 새끼를 잡는 듯, 허나 매번 허탕이다 물 움키는 그 재미에 자꾸 물만 움켜대니 소년이 본다는 걸 아는지 모르는지 건너는 사람 있어야 길을 비킬 모양이다 소녀가 물 속에서 무얼 하나 집어든다 조약돌 하나를 들고 징검다리 건너더니 ‘이 바보!’ 소리를 치면서 소년 향해 던진다 갑작스런 조약돌에 소년이 놀랐는데 단발머리 나풀나풀 소녀 그냥 막 달린다 청량한 가을 햇살 아래 갈꽃들만 빛난다 사라진 소녀 모습 나타나길 기다리나 오랜 시간 지나도록 나타나지 않더니만 저 멀리 갈밭머리에서 꽃 한 움큼 움직인다 유난히도 맑은 햇살, 갈꽃 머리 반짝반짝 들길을 걷는 것은 소녀인가 갈꽃인가 갈꽃
시조로 바꾸어 쓴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 여름 장은 재미없지, 애시당초 늘 글렀다 해는 아직 중천인데 장판은 벌써 쓸쓸 햇발이 전(廛) 휘장 밑으로 등줄기를 볶는다 마을서 온 사람들은 거의 다 돌아가고 팔지 못한 나무꾼패 길거리에 궁깃궁깃 파장(罷場)에 언제까지든지 버틸 필요 있을까 날아드는 파리떼도 각다귀도 귀찮았다 얽음뱅이 왼손잡이 드팀전의 허생원은 기어이 함께 동업하는 조선달을 나꾸었다 “이제 그만 거둬볼까” “자네 생각 잘하였네” “봉평장서 한번이나 흐뭇한 일 있었을까 내일은 대화장에서나 한몫 벌어 보세나” “오늘 밤은 밤을 새서 걸어야 되겠는걸” 허생원 하늘을 본다, “그렇지, 달이 뜨렷다” 동전의 절렁절렁 소리 조선달이 돈을 센다 허생원은 말뚝에서 넓은 휘장 걷어놓고 벌여놓은 물건들을 거두기 시작한다 무명필 주단 바리가 두 고리짝 꼭 찼다 또다른 축들마저 전(廛)들을 걷고 있다 약바르게 떠나는 패 한둘이 아니었다 엿장수 어물장수도 그 꼴들이 이미 없다 내일은 진부에서 대화에서 장이 선다 축들은 그 어디든 밤을 새며 걸으리라 밤길을 육칠십리쯤 타박타박 걸으리라 장판은 잔치 뒷마당, 어수선히 벌어지고 술집에선 쌈박질에 주정꾼들 욕지거리 계집의 앙칼진
시조로 바꾸어 쓴 알퐁스 도데의 별 뤼브롱산 기슭에서 양을 칠 때 얘깁니다 몇 주일씩 사람 구경 그림자도 못 하고요 양떼와 검은 사냥개들만 친구하며 지냈지요 이따금 은자(隱者)들이 약초 찾아 지나가고 피에몽서 예까지 온 숯 굽는 몇몇 사람 언제나 거무데데한 얼굴, 눈에 띄곤 했지요 하지만 그 사람들은 외롭게만 살아와서 좀처럼 입 열거나 말 거는 일 없었어요 산 아래 여러 마을 소식 통 모르고 있었지요 그러기에 기뻤어요, 노새의 방울 소리 두 주(週)마다 먹을 양식 실어오는 농장 노새 꼬마나 아주머니를 보면 너무너무 기뻤어요 그 때마다 물었지요, 궁금한 산 밑 소식 영세(領洗)는 누가 했고 결혼은 누가 했나 그동안 일어난 소식을 연이어서 캐물었죠 그러나 무엇보다 관심이 쏠리는 건 백 리 안팎 가장 예쁜 주인댁 따님 소식 어여쁜 스테파네트 아가씨의 소식이죠 나는 과히 관심 가진 그런 기색 보이잖고 잔치 참석 자주 하나 넌지시 묻곤 했죠 새로운 멋쟁이들이 환심(歡心) 사러 오는지도 산에 사는 목동 주제에 왜 알려고 하느냐고 보잘 것 없는 네가 그걸 알아 뭐 하냐고 이렇게 묻는다고 하면 대답할 말 있습니다 그 당시 내 나이가 갓 스무 살이었다고 그리고 스테파네트 주
시조로 바꾸어 쓴 김유정의 봄봄 ‘장인님 이제는 저’, 뒤통수 긁으면서 성례를 시켜 달라 조심조심 말을 하면 장인은 “성례구 뭐구, 자라야지” 하고 만다 자라야 한다는 건 내 아니라 점순이다 삼년 하고 일곱 달을 돈 안 받고 일했는데 아직도 미처 못 자랐다니 그 영문을 모르겠다 일을 좀 더 잘하라면 할 말이 나도 있고 밥을 좀 덜 먹으라면 나도 할 말 많지마는 점순이 더 자라야 한다니 그만 벙벙하고 만다 계약이 잘못된 걸 이래서 알게 됐다 이태면 단 이태요, 삼 년이면 삼 년이라고 기한을 딱히 작정하고 일 했어야 했던 거다 덮어놓고 자라는 대로 성례를 시킨댔으니 그 누가 늘 점순이를 지키고 섰을 건가 그 키가 언제 자라는지 대체 알 수 있는가 사람 키가 무럭무럭 자라는 줄 알았었지 붙박이 키에다가 모로만 벌어질 줄 세상에 그런 몸 있는 것을 어느 누가 알았으랴 때가 되면 장인님이 어련하랴 싶었기에 군소리 하나 없이 꾸벅꾸벅 일만 했다 그러면 장인님이 다 알아차려 주겠지 “어 참, 너 일 많이 했다, 이제 고만 장가들어” 살림도 내주고 해야 나도 좋지 않을 거냐 장인님 시치미 딱 떼고 되레 펄펄 야단이다 명색 좋아 데릴사위 일하기에 참 싱겁다 아무리 생각해도
가야금병창 최고봉 오태석 명인 기념 제17회 순천 낙안읍성 전국 가야금병창 경연대회 참가자 모집 공고 전통 음악의 본향인 순천 낙안읍성에서 오태석 가야금병창 중시조를 기리고, 가야금병창 인재 발굴과 저변 확대를 위해 전국 가야금병창 경연대회를 개최하오니 많은 신청 바랍니다. 1. 공고개요 ❍ 공고명 : 제17회 순천 낙안읍성 전국 가야금병창 경연대회 참가자 모집 공고 ❍ 공고기간 : 2025. 4. 7.(월) ~ 5. 7.(수) / 31일간 ❍ 대회기간 : 2025. 5. 10.(토) ~ 5. 11.(일) 09:00 ~ 17:00 / 2일간 ❍ 장소 : 순천 낙안읍성 동헌 (우천 시 낙안읍성 낙민관) ❍ 주최/주관 : 순천시 / (사)낙안읍성 가야금병창 보존회 2. 신청요강 ❍ 신청기간 : 2025. 4. 7.(월) ~ 5. 7.(수) 18:00까지 ❍ 신청자격 : 대한민국 국민으로서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사람 • 초·중·고등부 : 대회 기준일 국내 초,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 대학부 : 대학생(전문대 포함) • 신인부 : 비전공자 / 가야금, 판소리 제외한 전공자는 참가 가능 • 일반부 : 전공자 / 전공 관련 학과 졸업자 또는 이에 상응하는
The 5th MAM Contest (제5회 맘 콘테스트) 제5회 밀양아리랑 창작소리 콘테스트 (The 5th Miryang Arirang creative Music Contest) 밀양아리랑의 새로운 발전방향 제시와 현대적 시선에서 재창조된 다양한 주제의 밀양아리랑 창작물 발굴을 위한 대회입니다. 여러분들의 열정과 신선한 아이디어로 탄생할 밀양아리랑을 들려주세요! 2025. 3. 7. (재)밀양문화관광재단 이사장 대회 개요 ❍ 대 회 명: 국문 제5회 밀양아리랑 창작소리 콘테스트 영문 The 5th MAM Contest (The 5th Miryang Arirang creative Music Contest) ❍ 대 회 일: 2025. 5. 25(일) ❍ 장 소: 제67회 밀양아리랑대축제 무형유산 공연장 특설무대 ❍ 주최/주관: 밀양시, 밀양문화관광재단 / 전문예술단체 퓨전국악예술단 연 참가 개요 ❍ 접수부문: 전공자, 예술인 및 전문예술단체 포함 ※시·군·도립 예술단제외 ❍ 접수기간: 2025. 4. 7.(월) ~ 5. 2.(금) 18:00까지 ‣ 접수 시 직접 촬영한 5분 내외 영상 필수 첨부 (의상 자유) ‣ 반드시 라이브로 불러야 하며 최근 6개월 이내
제27회(통합59회) 여수진남전국국악경연대회 개최요강 1. 대회목적 여수는 선조26년(1593)부터 좌수영 수군통제영으로 취고수청과 신청 그리고 교방청을 두어 향토 예능인을 양성했던 역사적 배경을 지닌 고장이다. 민족 고유의 전통음악을 보존하고자 1967년 제1회 진남제 판소리명창대회를 시작으로 국악영재의 등용문으로써 그 역할을 다해왔다. 우리나라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조소녀(전라북도 무형유산 제2호 춘향가), 안애란(전라남도 무형유산 제29-2호 춘향가), 김향순(전라남도 무형유산 제29-1호 흥보가), 이임례(광주광역시무형유산 제14호 심청가), 이명희(대구광역시 무형유산 제8호 흥보가), 전인삼(전남대학교 예술대학 교수), 윤진철(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적벽가), 이난초(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제5호 흥보가), 송재영(전라북도 무형유산 제2호 심청가), 염금향, 장문희(전라북도 무형유산 제2호 심청가), 등 여러 명창들을 배출한 오랜 역사와 전통을 이어가는 대회다. 특히 진남전국국악경연대회의 명칭의 의미처럼 취고수청과 신청, 교방청이 있었던 역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판소리, 고수, 기악, 무용 부문의 인재발굴과 양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수상자들을
선운 임이조 명무의 정신계승, 전통과 창작이 공존하는 경연무대 펼쳐져... (사)한국전통춤연구회가 주최하고 선운임이조춤보존회, (사)한국전통문화예술원이 주관하는 2025 선운 전국무용경연대회가 오는 3월 15일(토) 예선과 본선을 은평문화예술회관 대극장에서, 결선은 10월 6일(월) 광화문광장 놀이마당(광화문전통페스타)에서 개최된다. 이번 대회는 한국무용의 대중화와 세계화를 위해 선운 임이조 명무의 정신을 이어받아 전승과 창조의 토대를 마련하고, 한국무용 전공자와 신인 무용인들에게 다양한 무대 경험과 표현의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대회는 전통과 창작의 경계를 허물고 한국무용 전 장르가 참여할 수 있는 무대로, 깊이 있는 전통을 계승하는 동시에 창작의 가능성을 넓히는 장이 될 것이다. 특히, 올해부터는 해외에서 한국무용을 전승하는 예술가들도 참가할 수 있도록 국제부를 신설하여, 세계 각지에서 활동하는 무용인들에게도 기회를 제공한다. 경연은 8개 부문으로 학생부(초·중·고등부), 국제학생부, 신인부(비전공자), 국제일반부, 일반부, 명무부로 나뉘며, 한국무용의 전통과 창작을 중심으로 개인과 단체(2인 이상)로 참가할 수 있다. 대회 참가요강 및 신청서류는
제1회 인천심청국악제 전국판소리경연대회 - 대회 요강 □ 대회 개요 ◦ 일 시: 2024. 12.28일 (토/ 1일간) ◦ 장소 : 인천무형문화재전수교육관 ◦ 주최 : 인천심청국악제 전국국악경연대회 추진위원회 ◦ 주관 : 남도민요판소리연구소 ◦ 후원: 사)국악협회 사)서울전통문화협회, 사)대한민국전통예술전승원, 사)아시아문화예술협회, 사)중국동포연합중앙회, 국악타임즈, 국악신문, 사랑희망나눔운동본부 ◦ 경연부문 ▸판소리 : 학생부(초등부/ 중고등부), 일반부, 신인부, 다문화가족부 * 다문화가족부(개인및 단체포함): 판소리 민요 장르불문 □ 참가자격 ▸ 학생부: 기준일 기준 초, 중,고 재학중인 학생 ▸ 일반부: 만 19세이상의 대한민국 국민(대학 전공자포함) ▸ 신인부: 만 19세이상의 대한민국 국민 ▸ 다문화가족부: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및 재외동포로서 연령에 무관 □ 참가 신청 ▸ 제출서류: 참가신청서(사진부착), 학생부는 학생증사본 및 재학증명서1부 * 신청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 신청금: 없음 ▸ 신청방법: 신청서 다운받아 작성하여 제출 국악타임즈 홈페이지(www.gugaktimes.com) ▸ 신청기간: 2024.12.18~2024. 1
* 첨부문서의 참가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제10회 홍천전국민요경창대회 * 아래 첨부문서의 신청서를 다운로드하세요.
제14회 안비취대상 전국민요경창대회 ■ 대회목적 故안비취 명창을 기리기 위해, 사단법인 한국의소리 숨에서 주최하는 민요경연대회로서 전국의 경기민요 신인들을 발굴·육성하는 권위 있는 국악 등용문으로 정착시키고, 경기민요의 전승과 보급에 기여하고자 하는 대회입니다. 21c를 맞아 국악의 대중화는 물론 우리문화의 세계적인 진출과 전통민요의 위상을 높이며 문화예술창달에 기여하고 공정하며 엄격한 대회를 운영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습니다. ■ 일시 예 심 : 2024년 11월 4일(월) 오전 10시 (비대면 영상 심사) 본 선 : 2024년 11월 10일(일) 오전 10시 (학생 고등/신인/일반/명창부) 대면 심사 시 상 : 결승종료 후 역대수상자 축하공연 마치고 단심 수상하신 분들과 같이 시상식 진행 ※ 예선은 비대면 동영상 심사로 진행되며, 본선은 학생(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명창부 만 대면으로 심사 진행됩니다. ※ 예선결과는 한국의소리 숨 홈페이지 공지사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비대면 단심 경연하신 수상자분들도 본선 시상식에 꼭 참석하여 상장수령 합니다. ※ 본선경연, 축하공연 영상은 “Youtube 이호연TV” 채널에서 검색하시기 바랍니다. ■
제27회 창원전국국악경연대회 요강 ■ 기간 2024.11. 2.(토-예선) ~ 11. 3.(일-본선) ■ 장소 창원시늘푸른전당(경남 창원시 의창구 두대로 97/☎055-712-0372) ■ 주최 창원전국국악경연대회 조직위원회 ■ 주관 도지정전문예술단체 손양희국악예술단, 경상남도 판소리보존회 ■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교육부, 경상남도, 창원시, 경상남도교육청, 경남신문, 경상남도창원교육지원청, MBC경남, 창원KBS, 경남도민일보, 경남메세나협회 특별후원 : 주식회사 부경 ■ 경연부문 ▷판소리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기 악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민요·가야금 병창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무 용 : 초·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풍 물 : 초등부, 중·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 참가자격 ▷일반부 - 대학생을 포함한 만 18세 이상의 모든 남, 여 ▷신인부 – 만 18세 이상의 모든 남, 여 ▷중·고등부 –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또는 이에 준하는 자 ▷초등부 -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 경연시간 ■ 참가비 전체 없음. ■ 고수비 전체 없음. ■ 경연시간 안내 ※ 접수확인 및 순번표
제3회 삼국유사 전통음악전국경연대회 요강 ■ 기간 2024.10. 5.(토요일-예, 본선) ■ 장소 인각사 특설무대(대구광역시 군위군 삼국유사면 삼국유사로 250/☎054-383-1161) ■ 주최 대한불교조계종 인각사 ■ 주관 삼국유사전통음악경연대회추진위원회, 전문예술단체 손양희국악예술단 ■ 후원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본사 은해사, 대구광역시청, 국가 유산청, 대구광역시교육청, 군위군, ■ 특별후원 홈센타홀딩스, 보광산업 ■ 경연부문 ▷판소리 :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민 요 : 초등부, 중등부, 고등부, 신인부, 일반부 ■ 참가자격 ▷일반부 - 대학생을 포함한 만18세 이상의 모든 남, 여 ▷신인부 – 만18세 이상의 모든 남, 여(전공자 참가 불가) ▷중·고등부 – 중학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또는 이에 준하는 자 ▷초등부 -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 경연시간 참가비, 고수비 : 전체 없음. ■ 경연시간 안내 ※ 접수확인 및 순번표 배부 시간 : (시간 엄수) 고등부,일반부 - (08:40~09:00), 신인부 - (10:30~10:50), 초,중등부 – (12:00~12:20) ※ 예선 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