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최은서의 우리 음악 유산 답사

전체기사 보기

[최은서의 우리음악유산답사] 조선판 태양의 서커스 ‘남사당놀이’

안성의 자랑 안성남사당 바우덕이 축제 남사당패의 유일무이한 여성 꼭두쇠 바우덕이 조선판 태양의 서커스 남사당놀이 영화 <왕의 남자>의 파이널 샷으로 기억되는 줄타기 ‘어름’ 유랑 예인 집단 사당패와 남사당패

조선판 태양의 서커스 ‘남사당놀이’ 안성의 자랑 안성남사당 바우덕이 축제 오늘은 남사당놀이를 구경하기로 하였다. 국악을 잘 모르는 이들도 그 이름은 들어보았을 만큼 우리의 무형유산 중 대중적인 인기를 크게 누리는 예능이라 할 수 있다. 풍물놀이뿐만 아니라 줄타기 어름과 우리 전통의 인형극 덜미, 탈놀이인 덧뵈기, 땅에서 재주 넘는 살판, 버나 등 다양하고 재미있는 볼거리가 그득 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 생동감 넘치는 예술은 1964년 인형극인 덜미를 시작으로 1988년에는 남사당의 여섯 가지 모든 예능 종목이 국가 무형유산으로 지정되었고 마침내 2009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이라는 세계적인 걸작으로 평가되었다. 아침 일찍부터 부산하게 안성을 향했다. ‘안성’ 하면 흔히 특정 업체의 라면이 떠오기도 하지만, 필자에게는 늦은 나이에 시작한 국악 공부에 동학들과 도란거리던 캠퍼스로 기억되는 곳이기도 하여 발걸음이 더욱 설레었다. 드디어 안성맞춤 IC에 닿았다. ‘안성맞춤’이라는 표현은 무언가가 꼭 알맞게 딱! 들어맞을 때 쓰는 말이다. 이곳을 오가며 공부하던 시절 알게 된 사실이지만, 그 말이 바로 이곳 안성이라는 지명에서 비롯되었다 한다. 원래 안성은 놋